LCD·반도체값 “바닥이 안 보인다”

입력 2011-08-07 10: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일 사상최저치 경신, 국내 수출 타격 불가피

삼성전자, 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전자업체의 주력 업종인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가격이 연일 사상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7일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이미 원가 이하로 팔리고 있어 만들면 만들수록 손해인 TV용 LCD 패널의 8월 전반기 가격이 또 내려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TV용 LCD 패널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등의 LCD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북미·서유럽 시장의 TV 판매 부진과 공급 과잉이 겹쳐 앞으로도 당분간 ‘제값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와 증권가 전망이다.

대표적 LCD 패널 제품인 40~42인치 HD TV용은 8월 전반기 231달러로, 7월 후반기(237달러)보다 3% 하락하면서 이 제품이 나온 이래 가장 낮은 가격을 형성했다.

이 제품 가격은 지난해 1~4월 340달러였으나 차츰 내려가 지난해 8월 말 295달러로 300달러 벽이 깨졌고 이후에도 계속 하락해 올해 4월 말 232달러까지 떨어진 뒤 5월 237달러로 반등하고 나서 3개월간 같은 값을 유지해왔지만 팽팽한 줄다리기 끝에 다시 내리막길로 들어섰다.

지난해 초보다 109달러(32.1%) 떨어져 3분의2 수준에 불과한 셈이고, 1년 전과 비교해서도 64달러(21.7%) 내려앉은 셈이다.

같은 크기의 발광다이오드(LED) TV용 패널 제품도 4월 말 317달러까지 떨어졌다 5월 초 320달러로 반등하면서 본격 회복세에 들어가는가 싶었으나 7월 후반기 315달러로 주저앉더니 8월 전반기에는 310달러로 2% 더 하락했다.

이 또한 역대 최저치로 지난해 초 500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190달러(38%)나 빠진 것이다.

46인치 TV용 패널은 지난해 초 447달러에서 단 한 차례도 오르지 못하고 떨어지기만 해 이달 초에는 307달러를 기록했다.

이밖에 PC모니터용, 노트북용, 모바일폰용 LCD 패널의 가격도 지루하게 저공비행하고 있다.

D램과 낸드 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도 가격을 책정할 때마다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대표적인 D램 제품인 DDR3 1Gb 128Mx8 1066MHz의 7월 후반기 고정거래가격은 0.75달러로, 7월 전반기(0.84달러)보다 10.7% 폭락하면서 이 제품이 출시된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을 나타냈다.

또 낸드 플래시 제품인 16Gb 2Gx8 MLC의 고정거래가격도 지난달 말 2.74달러로, 2009년 2월 말(2.89달러) 이후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395,000
    • +1.12%
    • 이더리움
    • 5,270,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58,000
    • +1%
    • 리플
    • 730
    • +0.69%
    • 솔라나
    • 232,900
    • +1.48%
    • 에이다
    • 637
    • +1.27%
    • 이오스
    • 1,113
    • -1.5%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1%
    • 체인링크
    • 24,580
    • -0.16%
    • 샌드박스
    • 63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