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의 게임쇼 ‘차이나조이2011’ 직접 가보니

입력 2011-07-29 10:35 수정 2011-07-29 11: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의 E3, 일본의 도쿄게임쇼(TGS)와 함께 세계 3대 게임 박람회로 손꼽히는 ‘차이나조이2011(China Joy)’가 28일 화려하게 개막했다.

중국 신문출판부에서 주최하는 차이나조이는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하며 총 33개국 221개 업체가 참가했다.

개막식 당일, 38도를 웃도는 폭염 속에도 차이나조이에는 엄청난 인파가 몰려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차이나조이2011이 열리는 상해 신국제박람센터는 W1관부터 W4관까지 총 4개관이 B2C 참가 업체들로 구성됐고 W5관은 B2B 참가 업체들의 부스가 마련돼 있었다.

▲텐센트 게임 부스 전경.
▲샨다의 도우미들이 하얀 드레스를 맞춰입고 관람객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W1관은 온라인 게임사, W2는 모바일게임사, W3은 웹 게임사들로 구성됐는데 처음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마련된 W1관에 중국을 대표하는 텐센트, 샨다 등 대형 게임사들을 포진해 놓았기 때문에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방문객 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의 지스타(G-Star)와 다른 점은 규모, 투입인력, 관람객 수 어느 측면에서 봐도 중국의 차이나조이가 압도적으로 우월하다는 것이었다. 대형 게임사들의 부스는 지스타에서 엔씨소프트와 넥슨의 부스를 합친 것과 비슷한 규모이며 미녀 도우미들은 무대를 전부 에워쌀 정도로 그 수가 많았다.

또한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이 소음 규제가 없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서 스피커를 크게 틀면 맞은편에서는 이에 맞춰 더 크게 틀기 때문에 소음이 엄청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나라 관람객에 비해 중국의 관람객은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 중국의 관람객들은 저마다 카메라를 들고 미녀 도우미들에게 특정 포즈를 요구하거나 같이 사진 찍기에 여념이 없었다. 또 조금이라도 높은 곳에서 보기 위해 무대에 올라가는 일도 많았다.

▲더나인 부스 전경.

차이나조이는 중국 온라인 게임 산업의 현주소와 궤를 같이한다. 이 게임 박람회는 129개 기업이 참가했던 2004년 제1회 차이나조이 이후 2007년 161개, 2010년 2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하는 등 그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볼 수 있다. 단적으로 16년의 역사를 간직한 E3 게임 전시회가 올해 약210개 업체가 참가한 것과 비교 해봐도 알 수 있다.

지난해 차이나조이는 총 4269위안(약 한화 70조원)에 해당하는 금액의 경제적 효과를 얻은 것으로 기록됐다.

중국 게임 산업 역시 막대한 자본력으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이제 한국에 뒤처지는 시장이 아니다. 지난해 중국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6.3% 성장한 5조5000억원 수준으로 연평균 24.2%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텐센트 부스 내 '블레이드앤소울' 소개 코너.

과거 한국 게임을 그대로 본뜬 ‘카피캣’ 수준에서 벗어나 한국의 게임 기획과 시스템을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이 생긴 것이다. 과거 텐센트는 국내의 NHN과 같은 기업을 롤모델로 삼았지만 이제는 비교할 수 없이 덩치가 커졌다.

중국이 자체 IP를 늘리고 내수시장도 모자라 해외에 눈을 돌리기까지 차이나조이가 그 발걸음을 함께 하며 크게 성장해왔다.

올해 차이나조이 역시 외국의 게임에만 의존해왔던 과거 모습과 달리 중국 특색을 잘 살리고 있는 자체 게임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전시장 내 소녀시대의 음악은 흘러 나왔지만 게임 한류 붐은 느끼기 어려웠다.

▲'서든어택' 전용 부스 전경.
물론 전시장 구석구석엔 보석과도 같은 한국 게임들이 눈에 띄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텐센트 부스 내 엔씨소프트의 ‘블레이드앤소울’이 처음 소개됐으며 샨다 부스에서 최근 비공개시범 테스트를 마친 총싸움(FPS) 게임 ‘서든어택’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텐센트는 종합 부스 내 웹젠의 ‘배터리 온라인’과 ‘C9’관을 별도 설치했다. 배터리 온라인은 미녀들 틈에서 군인 복장을 한 젊은 남성 모델들을 앞세워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으며 C9의 게임 체험존은 많은 관람객이 참가해 자리를 뜨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남성모델을 앞세운 '배터리 온라인'
▲웹젠의 'C9' 부스 전경
세기천성은 부스 내에 ‘스페셜포스2’의 시연대를 운영했으며 행사장 내에서 관람객 대상 대회와 이벤트를 진행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W4관에서는 넥슨의 ‘카트라이더’ 리그가 펼쳐지는 것도 볼 수 있었다.

한창 상승세를 타고 있는 차이나조이지만 아쉬운 점은 많았다. 전시제품의 경쟁 보다는 미녀 도우미와 경품이 너무 부각돼 주객이 전도된 느낌이었다.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정보전달이 굉장히 미흡했다.

중국 게임 산업이 이미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졌지만 해외 언론에 대한 배려나 외국기업의 참가 부진도 문제다. B2C관 내 외국 기업은 미국의 블리자드와 EA, 레드(RED) 5, 프랑스의 유비소프트 등 손에 꼽을 정도다.

게임 업계 관계자는 “관람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게임 박람회가 돼야 하지만 차이나조이는 빠른 시간 내 성장했기 때문에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면서 “세계적 게임쇼가 되려면 해외 기업과 고객들에 규제를 완화해야 할 것이며 우리 지스타도 이를 통해 배울 점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이나조이 전시장 입구에 마련된 '스페셜포스' 포스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9일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손실흡수능력 저하에 ‘자금수혈’ 나선 모기업…기댈 곳 없는 중ㆍ소형 저축은행 어쩌나
  • 대북 확성기 방송의 선곡은…BTS와 볼빨간 사춘기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09:5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01,000
    • -0.37%
    • 이더리움
    • 5,190,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665,000
    • -0.08%
    • 리플
    • 700
    • +0.14%
    • 솔라나
    • 226,200
    • +1.12%
    • 에이다
    • 621
    • +0.32%
    • 이오스
    • 995
    • +0.1%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850
    • +0.06%
    • 체인링크
    • 22,790
    • +0.8%
    • 샌드박스
    • 589
    • +1.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