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신용등급 논란 재점화…3대 신평사 강등 경고

입력 2011-06-09 06:53 수정 2011-06-09 07: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피치, S&Pㆍ무디스에 이어 채무한도 문제 지적

미국 신용등급 논란이 3대 국제신용평가사의 강등경고로 재점화할 전망이다.

피치는 8일(현지시간) "미국이 오는 8월까지 채무한도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국가신용 등급을 낮출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 3대 신평사가 모두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의 불안정성을 지적한 셈이다.

무디스는 지난 2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지난 4월 미국의 신용등급의 하향조정을 경고했다.

무디스는 당시 수 주일 내에 국가채무 한도가 상향 조정되지 않을 경우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의회가 7월 중순까지 예산과 관련해 실질적인 협상의 진전을 이루지 못할 경우 미국 신용등급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의미다.

S&P는 지난 4월 이미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강등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뜻은 앞으로 상황개선이 없을 경우 신용등급 자체도 낮추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주요 신평사의 미국 신용등급에 대한 잇단 경고는 아무리 최강대국이라 할지라도 막대한 재정적자와 급증하는 부채로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 위기를 간신히 넘기는 국가에 대해 최고 신용등급을 부여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미국의 재정상황은 실제 나빠질 대로 나빠진 상황이다.

국가부채는 연방정부가 수입보다 지출을 많이 하는 적자재정 운용을 지속하면서 지난해 말 14조달러를 넘어섰다.

의회는 부채한도를 14조2940억 달러로 설정했으나 지난달 정부 부채규모는 이를 넘겼다.

의회의 부채한도 상한합의가 지연되면서 정부는 디폴트만 간신히 면할 수 있도록 중앙은행의 예치금을 끌어다 쓰고 정부기금 투자지출은 줄이는 방식으로 비상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 비상조치 역시 오는 8월 초면 수명을 다하게 돼 이 때까지는 반드시 부채한도를 늘려야만 한다.

피치가 이날 경고를 내면서 "8월 초까지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라는 단서를 단 것도 결국 여야 합의로 조속히 채무한도를 확대하라는 촉구의 의미가 강하다.

3대 신평사의 경고에도 뉴욕 증시는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신평사들의 제스처는 여야 합의를 촉구하는 의미이지 실제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될 가능성은 낮다는 인식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의정갈등 물꼬 트나…임현택 의협 회장 압도적 찬성으로 ‘탄핵’
  • 단독 “투자금 못 낸다”...한강리버버스 사업서 발뺀 ‘이크루즈’
  • 백화점 달구는 애니메이션 팝업…아케인vs드래곤볼 한판 대결
  • 포항제철소서 큰 불, 3시간 만에 진화… 1명 부상 [종합]
  • '이강인 2골 1도움' PSG, 앙제에 4-2 승리…홈 팬들 물통 투척 '눈살'
  • 공모주 시장, 날씨보다 춥네…상장 첫날부터 주가 ‘곤두박질’
  • 네카오 실적 갈렸다...카카오 ‘먹구름’ vs 네이버 ‘창사 이래 최대’
  • 중간 성적 17%, 보수 심장에선 경고음...임기후반 ‘이것’에 달렸다[尹 임기반환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0,391,000
    • +4.08%
    • 이더리움
    • 4,424,000
    • +3.68%
    • 비트코인 캐시
    • 612,500
    • +16%
    • 리플
    • 829
    • +8.22%
    • 솔라나
    • 288,400
    • +4.64%
    • 에이다
    • 857
    • +40.26%
    • 이오스
    • 828
    • +26.41%
    • 트론
    • 228
    • +1.79%
    • 스텔라루멘
    • 153
    • +10.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100
    • +14.46%
    • 체인링크
    • 20,070
    • +6.25%
    • 샌드박스
    • 403
    • +10.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