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미국·인도 전력사업 현지화

입력 2011-04-15 09: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총 9600만 달러 투자해 국내 전선 업체 최초 전력케이블 공장 현지 설립 추진

LS전선이 북미와 인도 등 해외 전력 신규 시장에서 총 9600만 달러(한화 약 1040억원)규모의 투자를 통해 현지화를 추진한다.

LS전선은 자사 미국 법인 슈페리어에식스(Superior Essex)를 통해 미국 북 캐롤라이나주 타버러(Tarboro)시에 총 6000만 달러(한화 약 650억원, 건물 구매비용 포함)를 투자, 전력선 생산 공장을 세우기로 했으며 이에 대한 주정부의 승인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북미전력시장에서 현지 생산 및 사업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며 국내 전선 업체로는 최초다. 공장 기공은 오는 5월말로 계획됐다.

회사 관계자는 “LS전선이 거대 전력 시장인 미국 진출을 위해 전략적으로 추진해 온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의 일환이다”며 “2008년 인수한 슈페리어에식스의 인적자원, 고객 네트워

크, 기술역량을 십분 활용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했다.

현지 공장 설립으로 슈페리어에식스는 기존 권선과 통신선 이외에 전력선까지 제품군에 포함하게 됐다.

LS전선과 슈페리어에식스 측은 2012년부터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초기에는 저전압(Low Voltage)와 중전압(Medium Voltage)제품을 위주로 생산한다. 고전압(High Voltage)과 전력솔루션 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도 선보인다.

LS전선은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해 인도에도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3600만 달러(한화 약 392억원)를 투자해 인도 북부 하리아나(Haryana)주 바왈(Bawal)에 위치한 기존 통신선 공장에 전력선 생산 라인을 추가하고 있다.

2011년 말에는 공장 건축을 마치고 2012년부터는 제품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손종호 LS전선 사장은 “이번 전력사업 현지화로 LS전선은 선진국에서의 최대시장인 북미시장과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인도 양쪽 전력시장에 모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2015년 글로벌 넘버 원(No.1)이 되기 위한 LS전선의 행보는 더 빨라 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하이브에 화해 시그널 보냈다…"뉴진스 위해 타협점 찾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83,000
    • +0.6%
    • 이더리움
    • 5,223,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77%
    • 리플
    • 726
    • +0.55%
    • 솔라나
    • 232,600
    • +0.69%
    • 에이다
    • 625
    • -0.32%
    • 이오스
    • 1,130
    • +2.08%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00
    • +0.12%
    • 체인링크
    • 24,810
    • -2.55%
    • 샌드박스
    • 606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