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지진] 전력대란 장기화...2차재앙 온다

입력 2011-03-22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계 생산 차질ㆍ세수 감소로 재정 타격ㆍ경제성장률 위축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위기 사태에 따른 제2의 재해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기능 마비로 인한 전력 부족으로 제한송전이 실시되면서 전력대란을 초래해 경기침체가 심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력대란 사태의 진원인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은 올 12월까지 제한송전이 계속될 수 있다고 밝혔다.

동일본 대지진 및 쓰나미로 후쿠시마현과 이바라키현의 대규모 화력발전소가 회생을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됐기 때문이다.

이들 화력발전소 2곳의 발전용량은 총 480만KW로 이는 현재 기능이 마비된 후쿠시마 제1 원전의 469만6000KW에 맞먹는 규모다.

이에 따라 여름철 직장과 가정의 냉난방 기기 사용금지는 물론 산업계도 대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는 지적이다.

도쿄전력은 관할 지역 내 2800만 가구에 전력을 내보내고 있으며, 전력 수요는 냉방이 필요한 여름철의 경우 6000만KW대, 난방 수요가 높아지는 겨울철에는 5000만KW대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 도쿄전력의 전력공급량은 3500만KW대에 불과하다.

도쿄전력은 사용하지 않는 소규모 화력발전소 가동을 재개해 발전용량을 4월 중에 4000만KW까지 늘릴 예정이지만 여름철에는 1000만KW 가량의 전략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쿄전력 관계자는 “제한송전은 올 여름, 겨울뿐아니라 내년 여름까지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주요 제조업체들은 피해가 큰 동북 지역의 생산 대부분을 도쿄가 속한 간토(關東) 지역에 있는 공장으로 이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제한송전으로 기업활동이 제한된 상황에서는 이마저도 녹록치 않다고 보고 있다.

대지진의 주요 피해지역인 동일본 지역을 넘어 피해가 비교적 적었던 수도권 경제에까지 타격을 가하는 양상이다.

1995년 한신대지진 당시에는 피해지인 오사카와 고베 지역의 생산을 다른 지역으로 옮겨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위축을 피했다.

이번 동일본 대지진은 제한송전 여파가 일본 전역에 퍼지면서 플러스 성장을 장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골드만삭스는 제한송전이 계획대로 4월말에 끝나면 올 3분기(7~9월)에는 일본 경제가 플러스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12월말까지 제한송전이 계속될 경우 2011년도는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할 것이어서 전력 공급의 조기 회복에 경제 성장이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언론은 전력공급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세수 감소로 이어져 재정에도 타격을 입힐 것으로 내다봤다.

이외에 지진과 원전 사고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투기세력으로 인한 엔화 강세 등 악재로 장기적으로는 일본기업의 해외 유출이 가속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경기 위축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재해 복구와 원전 사고 수습을 서두르고 동시에 경제 부흥계획과 재원 마련을 조기에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58,000
    • +0.97%
    • 이더리움
    • 5,249,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86%
    • 리플
    • 725
    • +0.69%
    • 솔라나
    • 230,000
    • +0.52%
    • 에이다
    • 637
    • +1.76%
    • 이오스
    • 1,119
    • -0.09%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77%
    • 체인링크
    • 24,510
    • -3.58%
    • 샌드박스
    • 632
    • +3.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