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M&A 호재로 급등...다우 1만2000선 돌파

입력 2011-03-22 06:27 수정 2011-03-22 10: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무선통신사 A&T, 경쟁사 T모바일 390억달러에 인수

뉴욕증시가 21일(현지시간) 기업 인수ㆍ합병(M&A) 소식에 힘입어 큰 폭으로 올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지수는 지난 주말보다 178.01포인트(1.5%) 상승한 1만2036.53을 기록했다.

나스닥지수도 48.42포인트(1.83%) 오른 2692.09,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19.18포인트(1.5%) 상승한 1298.38로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는 이날 미국내 2위 무선통신업체 AT&T가 4위 업체 T-모빌을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급등했다.

AT&T는 20일 T-모바일USA를 도이체텔레콤으로부터 39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두 업체의 결합은 북미 이동통신시장에 일대 판도 변화를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두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기존 1위였던 버라이즌보다 약 3분의 1가량 더 높고 3위인 스프린트넥스텔의 두 배 이상 규모로 확대된다.

AT&T의 발표에 따르면 AT&T와 도이치텔레콤 이사회가 인수를 승인하고 절차를 완료하는 데 약 1년 정도가 걸릴 전망이다.

온라인거래 증권사 찰스슈왑도 온라인중개 서비스업체 옵션익스프레스를 인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일본의 원전사태가 소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전망도 증시 상승에 힘을 실어줬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3,4호기를 포함해 모든 원자로에 전력선을 연결해 조만간 냉각시스템이 복원될 것이라는 희망도 확산됐다.

투자귀재 워런 버핏은 일본의 대지진으로 일본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투자기회가 생겼다며 보유한 일본주식을 매각할 의도가 없다고 말했다.

A&T와 버라이존은 각각 1% 이상 올랐고 옵션익스프레스는 17% 급등했다.

아메리칸인터내셔널그룹(AIG)와 하트포드파이낸셜서비스그룹(HIG)는 일본 원전사태가 최악의 고비를 넘겼다는 전망에 3.9% 이상 상승했다.

세계2대 명품보석업체 티파니는 실적 개선에 5.1% 올랐다.

씨티그룹은 보통주 10주를 1주로 병합한다는 소식에 1.5%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9일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매크로 이슈 속 널뛰기하는 비트코인, 6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 거듭 [Bit코인]
  • 대북 확성기 방송의 선곡은…BTS와 볼빨간 사춘기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엑소 첸백시 측 긴급 기자회견 "SM엔터 부당한 처사 고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13:5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00,000
    • -0.13%
    • 이더리움
    • 5,174,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658,500
    • -0.15%
    • 리플
    • 700
    • +0.43%
    • 솔라나
    • 224,900
    • +0.67%
    • 에이다
    • 620
    • +1.14%
    • 이오스
    • 991
    • -0.3%
    • 트론
    • 165
    • +1.85%
    • 스텔라루멘
    • 140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350
    • -0.25%
    • 체인링크
    • 22,650
    • +0.22%
    • 샌드박스
    • 587
    • +0.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