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式 핵심사업 ‘오리무중’

입력 2011-01-07 13: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서울시의회가 재의결한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거나 삭감된 오세훈 시장의 역점사업들은 이제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오 시장이 불참한 가운데 시의회는 시가 추진하던 일부 사업의 예산을 취소하거나 대폭 줄이는 대신 무상급식 등 복지 부문 예산을 신설 또는 증액했기 때문이다.

시 의회를 통해 예산이 삭감된 사업은 ‘서해뱃길’(752억원)과 ‘한강예술섬’(406억원) 등이다. 올해부터 의류와 전자제품을 기증받아 저소득층에게 건네는 ‘서울희망마켓’ 예산(2억5000만원)도 전액 삭감됐다. ‘그물망복지센터’ 등 3개 센터 운영비도 13억원에서 1억원으로 대폭 깎였다.

‘한강지천 수변공원조성’(50억원), ‘9988 복지센터’와 ‘어르신행복타운 사업’(98억9000만원)도 추진이 어렵게 됐다. 시는 추진이 어렵게 된 서해뱃길, 한강에술섬 등 역점사업에 대해 민자유치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각종 문화·축제 행사 예산도 대폭 축소됐다. 지난 2004년부터 서울광장에서 무료로 진행된 ‘문화와 예술이 있는 서울광장’ 사업비로 편성된 15억원이 전액 삭감됐다. 또한 ‘하이서울페스티벌’도 시의회에서 전체 예산 30억원 중 절반인 15억원이 깎였다. ‘서울드럼페스티벌’도 내년 전체 예산 6억1341만원 중 2억원이 줄었다.

총 1000억원을 조성해 서울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바이오메디컬 펀드 조성’ 사업도 자금 회수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예산 50억원이 전액 삭감됐다.

반면, 시의회는 복지 분야에 대한 예산은 대폭 늘렸다. 초등학교 6개 학년 전면 무상급식에 사용될 예산 695억원을 신설·배정했다. 학교시설 개선 지원금도 당초 64억300만원에서 247억7400만원으로 늘렸다. 중증장애인 활동보조 지원비도 200억원 증액했고, 경로당 현대화 사업 예산 30억원도 신설했다.

학습준비물 지원 예산은 당초 52억원에서 100% 증가한 104억원으로 증액했다. 국회에서 예산을 누락시킨 영유아 필수 예방접종지원비도 127억원으로 늘렸으며 결식아동 급식비와 경로당 운영비 및 난방비지원도 각각 5억3100만원, 10억원씩 증액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2:2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85,000
    • +1.08%
    • 이더리움
    • 5,228,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1%
    • 리플
    • 724
    • -0.96%
    • 솔라나
    • 232,300
    • -1.23%
    • 에이다
    • 624
    • -0.79%
    • 이오스
    • 1,133
    • +0.44%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0.35%
    • 체인링크
    • 24,860
    • -4.97%
    • 샌드박스
    • 606
    • -2.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