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추천종목]대우증권

입력 2010-11-29 07: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 대형주 포트폴리오>

▲삼성전기-전방 산업 성장 둔화에도 MLCC가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유지. 삼성LED의 재성장도 기대: 1) LED BLU TV 재고 감소에 따른 가동률 상승, 2) 본격적인 LED 조명 시장 확대. 원/달러 환율 하락 부정적이나 추가적인 급락만 없다면 경쟁력 확보 가능할 전망

▲OCI-경쟁사의 폴리실리콘 진출에 대한 우려로 주가 조정 받았으나 이는 지나치다는 판단. 2011년 폴리실리콘 업황은 공급과잉 이슈에도 불구 고순도 폴리실리콘 중심으로 양호할 전망. 동사의 신규공장 가동으로 생산량 증가하고, 우수한 원가 경쟁력 바탕으로 실적 개선 이루어질 전망

▲제일기획-고객사인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PC(갤럭시탭) 마케팅 활동 강화에 따른 수혜전망. 종합편성채널 선정과 민영 미디어랩 도입 등 규제 완화에 따른 이익모멘텀 강화 전망. 글로벌 광고 경기 회복에 발맞춰 광고회사 추기 인수 통한 글로벌 전략 기대

▲SK에너지-국제 재고감소에 따른 정제마진 회복, 운휴 NCC 설비 재가동에 따른 석유화학 이익 증가, 일생산량 확대에 따른 자원개발 이익 증가로 실적 성장 전망. 2011년 1월 1일,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화학, SK에너지석유로 나누어질 계획. 물적분할 이후 각사의 성장전략 가시화 예상

▲엔씨소프트-'블레이드 앤 소울’, ‘길드워2’ 이외에 추가적인 신규 게임 라인업 발표 예정. 콘솔온라인게임 시장 등 플랫폼과 네트워크가 향후 몇 년간 게임 콘텐츠기업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

▲신규종목-없음

▲제외종목-현대차 추천일 11/12 수익률 -1.41% 제외사유: 펀더멘탈 상의 변화는 없으나 상승탄력 둔화

<코스피 중소형주 포트폴리오>

▲케이씨텍-수주 모멘텀은 내년 1분기부터 개선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의 반도체 16라인, TCL(CSOT) 8세대 라인 발주들이 내년 1분기에 있을 예정. 최근 AMOLED(마스크 세정 장비)의 공격적인 투자 확대에도 수혜 예상. 올해 현금 배당 1%, 주식 배당 3%를 포함하면 약 4%의 배당 수익률 기대

▲휠라코리아- FILA USA, 2011년부터 JC Penney 새롭게 제품 공급. 현재 가장 큰 시장인 미국과 미래의 가장 큰 시장인 중국에서 성장 모멘텀 확보. 기업공개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에도 주목할 필요

▲신규종목-없음

▲제외종목-LG상사 추천일 11/3 수익률 -7.76% 제외사유: 펀더멘탈 상의 변화는 없으나 상승탄력 둔화

<코스닥 포트폴리오>

▲서울반도체- 2011년 동사에 긍정적 시장환경 조성될 가능성 큰 것으로 전망. 아크리치(ARCRICH)제품으로 조명시장 주도권 확보하며 조명 시장 성장의 최대 수혜주. 니치아와의 크로스라이센스로 특허문제에서 경쟁사 대비 가장 자유로운 상황. 자회사인 서울옵토디바이스의 실적 개선 전망. IPO가능성도 긍정적

▲아바코- 우호적인 원/엔 환율 환경으로 가격 경쟁력 증가. LCD 전공정 장비(스퍼터)의 점유율 확대와 AMOLED, 태양광 장비로 성장세 가속. LG디스플레이의 AMOLED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전망. 중국 LCD 라인 건설 승인에 따른 국내 패널업체들의 중국 진출시 장비 국산화 비율 더욱 높아질 전망

▲KH바텍-최대 고객사인 노키아가 스마트폰 제품 강화 노력을 지속하고 있어 동사의 수혜 기대. RIM 등 스마트폰 전문 업체에 신규 모델 납품 본격화. 삼성전자 핸드셋 납품 모델 수와 태블릿PC(Tablet PC) 매출액 증가 긍정적

▲이녹스- IT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FPCB의 소재로 사용되는 Cover Lay, FCC Bonding Sheet 등을 생산하는 국내 1위의 IT소재 전문 기업.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81.3억원(YoY +20.7%) 영업이익 37.1억원(Yo+26.5%,) 기록. 2011년에도 공장 확장과 신규 아이템에 대한 매출 가세로 30%가 넘는 높은 매출 성장을 이어갈 전망

▲신규종목-없음

▲제외종목-유진테크 추천일 11/4 수익률 -8.93% 제외사유: 펀더멘탈 상의 변화는 없으나 기관수급 약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74,000
    • +1.13%
    • 이더리움
    • 5,312,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1%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0,100
    • -0.73%
    • 에이다
    • 630
    • -0.63%
    • 이오스
    • 1,140
    • +0.44%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0.06%
    • 체인링크
    • 25,160
    • -2.33%
    • 샌드박스
    • 650
    • +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