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머니] 부동산 침체기…

입력 2010-05-24 16: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 동네 집값 어떻게 될까?

# 경기도 일산에 거주하는 박 모씨(37살)는 현재 살고 있는 50평대 아파트를 팔고 서울로 이사 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문제는 집을 매물로 내 놓은 지 1여년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도 집이 안팔리고 있다는 것. 그는“중개업소에 집을 내놨지만 집을 보러오는 사람은 거의 2달에 1번 꼴”이라며“요즘은 이마 저도 뚝 끊겼다”며 답답해했다.

이어 그는“중개업소에서는 빨리 팔고 싶으면 매매값을 1억원 정도 낮춰보라고 권유하지만 아무리 매수자가 안 나타나도 그렇지 그건 너무 한 게 아니냐”고 토로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관련 인터넷 게시판에는“00지역은 집값이 왜 자꾸 떨어지고 있나요?”라며 서로 비슷한 질문이 수시로 올라오는 등 수도권‘집 주인’들은 의아해 하고 있다. 중개업계는“전반적으로 매매값은 계속 떨어지지만 매매거래 자체는 거의 없다”며“매매값 하락세가 계속되다 보니 매수자들은 더 떨어질 것으로 생각하고 관망세를 견지한다”고 전한다.

지난해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매매값이 폭등하자 정부는 9월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라는 카드를 꺼내들어 대출규제를 조치하자 수도권 주택은 된서리를 맞았다. 또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데다 최근엔 주변시세 보다 저렴한 보금자리주택이 잇따라 공급되면서 소비자들이 매수타이밍을 늦추고 있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출규제 강화 이후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매매값 하락폭이 큰 단지들을 비교해 봤다.

□ 분당 신도시

1기 신도시인 경기도 분당신도시는 일산 신도시와 더불어 입주 20년 이상 된 노후화 된 아파트가 많은 게 특징이다. 분당은 강남 못지않은 고가의 주상복합아파트 등 중대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하지만 중대형의 인기가 시들해진 요즘 같은 시기에 중대형 단지들은 평균 매매값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김주철 닥터아파트 팀장은“최근 들어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높아진 요즘, 고급 중대형 아파트와 주상 복합이 많은 분당 신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매값 하락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 조사에 따르면 분당 정자동에 위치한 주상복합인 파크뷰 78평형(공급면적258㎡)은 지난해 10월 매매값이 27억원이었으나 4월 현재는 1억5000만원 내린 25억5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이 단지는 2004년 6월에 준공된 단지로 가구수는 1829가구인 대단지 규모다. 1993년 5월에 준공한 수내동 푸른쌍용 아파트 52평형(공급면적 172㎡)은 같은 기간 1억원 떨어진 8억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 일산 신도시

분당과 더불어 노후화 된 중대형 평형이 많은 일산 신도시도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더욱이 일산 인근 지역인 고양·덕이·석사 원당지구에서 신규 입주물량이 쏟아지고 있어 타격은 더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94년에 준공한 아파트들은 최고 1억원 까지 하락했다. 일산 마두동 백마청구 아파트 49평(공급면적 162㎡)은 지난해 10월 이후 4월 현재 1억원 떨어진 약 7억원, 주엽동 문촌삼익 아파트 68평(공급면적 224㎡)도 1억원 내려 약 10억5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마두동 백마한성 49평형(공급면적 162㎡)과 장항동 호수삼환 47평(공급면적 155㎡)은 7500만원 하락해 각각 7억원, 약 6억7000만원으로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단지들 모두 지은지 20년 가까이 된 중대형 아파트라는 게 특징이다.

□ 강남3구

인기지역인 강남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도 예외는 아니다. 수도권 다른 지역에 비해 투기수요가 몰려 있는 강남권 지역은 하락폭도 높은 편이다.

지난해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급등, 전 고점가격을 거의 회복하다가 올들어 매매값은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인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뒤늦게‘안전진단 통과’라는 호재가 있으나 예상과는 달리 매매값을 자극하지는 못했다. 오히려 지금 팔겠다는 매물이 속속 등장할 뿐이었다. 부동산 업계는 재건축 단지가 지난해 단기간에 급등한데다 이미 호재가 반영돼 현재 가격조정이 이뤄지는 시기라고 해석한다.

강남구 개포동 A공인 대표는“이달 들어서는 급매물을 찾는 사람도 없어 매물이 계속해서 적체되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송파구 잠실동 J공인 대표는“주공5단지의 경우 면적별로 올 초 대비 최고 1억5000만 원 이상 가격이 빠졌지만 거래되는 것은 단 한 건도없다”고 말했다.

기존 아파트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강남구 삼성동 삼성파크 40평형은 지난해 10월 6억8000만원 하다가 4월 현재 6억500만원에, 서초동 우성5차 25평은 같은기간 6억원에서 현재는 5억3500만원에 시세를 이뤘다. 강남구 개포동 대림아크로빌(공급면적 202㎡)은 15억에서 13억5000만원으로 1억5000만원 하락했으며 송파구 가락스타클래스(152㎡)는 8억3000만원에서 8000만원 내린 7억5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 노원구

주로 중소형 평형이 밀집돼 강남권에 비해 실수요자가 많은 노원구도 가격이 내림세를 보였다. 노원구 공릉동 건영 24평은 2억5500만원에서 4000만원 내린 2억1500만원, 중계동 중계주공 2단지 18평은 1억9500만원에서 2000만원 하락한 1억7500만원에 시세를 이뤘다.

같은 기간 상계동 벽산아파트 33평은 4500만원 내려 3억7000만원이다.

공릉동 B공인 관계자는“매매물건을 찾는 사람은 별로 없고 중소형 위주로 전세수요가 많아 전셋값만 조금씩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전반적으로 매매거래 자체가 매우 드물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55,000
    • +0.59%
    • 이더리움
    • 5,306,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0.08%
    • 리플
    • 724
    • -0.41%
    • 솔라나
    • 229,900
    • -1.63%
    • 에이다
    • 629
    • +0.16%
    • 이오스
    • 1,134
    • +0%
    • 트론
    • 160
    • +2.56%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06%
    • 체인링크
    • 25,540
    • -1.66%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