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저평가된 자산주 15선 제시-HN투자證

입력 2010-01-20 08: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NH투자증권은 20일 보고서를 통해 향후 1년간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할 만한 스타일 관심주를 자산주로 꼽고 '2010년 관심 자산주 15선'을 제시했다.

박선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순현금성자산, 부동산, 우량자회사 등 세 가지 유형의 자산주를 추천하며 ▲ 순현금보유 저P/B주 (5종목, 시가총액순) 현대미포조선, 케이피케미칼, 율촌화학, 대덕GDS, 피앤텔 ▲ 부동산보유 저P/B주 (5종목, 시가총액순) 한진중공업, 삼양사, 파라다이스, 동원F&B, 한국주철관 ▲ 우량자회사보유 저P/B주 (5종목, 시가총액순)다우기술, 유니드, 세방, 한일이화, 경인양행 등을 언급했다.

박 연구원은 "자산주는 전체시장보다 변동성이 심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불확실한 장세에서 투자대안으로 적절하다"면서 "더군다나 2011년부터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인 K-IFRS가 도입되면 모든 상장기업이 연결재무제표를 주재무제표로 공시해야 하기 때문에 우량자회사나 부동산과 같이 재평가의 가능성이 높은 자산을 많이 보유한 자산주에 대해 그 어느때보다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연구원은 "매년 1월에 제시한 자산주의 최근 4년간 누적성과를 계산한 결과 2006년 1월12일에 동일가중으로 100을 투자했을 경우 2010년 1월15일 현재 204.8까지 상승해 104.8%(연복리 19.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면서 "이는 같은 기간 122.1까지 상승해 22.1% (연복리 5.1%) 수익률을 기록한 KOSPI 수익률을 82.7%p 앞서는 성과"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또 "자산주는 순자산가치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종목 중에서 순현금이 많거나, 부동산 보유비중이 높거나, 우량한 자회사를 보유한 종목으로 선정했다"면서 "시가총액에 비해 순현금성자산 보유비중이 높거나, 토지 및 건물 보유비중이 높거나, 지분법투자이익률이 크고 당기순이익 대비 지분법평가이익이 높을 것을 기본 조건으로 하였으며 밸류에이션 매력은 P/B가 1.2 이하일 것, 수익성 지표는 ROE가 5% 이상일 것을 추가조건으로 감안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기의 정점"…이병헌이 사는 ‘삼성동 SK아펠바움’은 [왁자집껄]
  • [르포] 폐플라스틱을 씻고 부숴 페트칩으로…삼양에코테크 시화공장
  • 27년 만 보험료율 인상이지만…자동조정장치 도입 없이는 '현상유지'
  • 프로야구 개막 D-2…직관 가기 전 봐야하는 '2025시즌 변화' [이슈크래커]
  • 이진호, 故 김새론 美 결혼설 폭로에 누리꾼들 싸늘…"이게 무슨 상관?"
  • 韓총리 24일 탄핵 선고, 尹은 안갯속...술렁이는 정치권
  • "토허제 재지정, 부동산 망쳐"…곳곳서 탄식 쏟아졌다
  • 2025 벚꽃 개화 시기·벚꽃 명소·벚꽃 축제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3.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86,000
    • -0.62%
    • 이더리움
    • 2,922,000
    • -2.34%
    • 비트코인 캐시
    • 494,100
    • -2.16%
    • 리플
    • 3,594
    • -2.28%
    • 솔라나
    • 189,000
    • -3.42%
    • 에이다
    • 1,061
    • -1.12%
    • 이오스
    • 827
    • -2.01%
    • 트론
    • 348
    • +3.26%
    • 스텔라루멘
    • 418
    • -0.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800
    • -1.45%
    • 체인링크
    • 21,010
    • -3.09%
    • 샌드박스
    • 423
    • -3.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