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파워, LED 집어등 사업에서 매출 성과

입력 2009-11-02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린에너지 전문 부품소재 기업인 와이즈파워는 2일 농림수산식품부의 ‘고효율 어선유류절감장비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해 온 고효율 LED 집어등 보급사업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올리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와이즈파워는 최근 제주도 및 동해 인근에서 조업하고 있는 갈치 및 오징어 채낚기 어선 등에 자사의 고효율 LED 집어등을 공급했으며 국내의 유수 원양어업 기업의 원양참치어선에도 LED 조명을 납품하는 등 LED 집어등 사업 부문이 본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

이번 성과는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고효율 LED 집어등 규격인증을 획득하여, 수협중앙회와 단가계약을 체결한 이후에 진행해 온 LED 집어등 보급사업에서 얻은 결과이다.

특히 그간 여러 업체들이 어선이나 해양연구 선박에 실험용으로 LED 조명을 설치해 온 사례들과는 달리, 실제 조업을 위한 집어등으로 LED 조명이 공급된 사례라는 점에서 국내 LED 집어등 시장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성과라는 의미를 둘 수 있다.

와이즈파워는 지난 2006년부터 LED 집어등 개발을 위한 정부지원과제를 수행해 왔으며, 특히 지난해 2월에는 국립수산과학원과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11년까지 LED 집어등 연구 개발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현재 와이즈파워는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협력업체 발굴 및 샘플 공급 작업을 펼치면서 LED집어등의 보급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의 유수 조명 기업과 제품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조만간 공급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와이즈파워는 LED 집어등 부분에서 3년 후 연간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와이즈파워의 박병재 부사장은 "림수산식품부에서는 최근 고효율 어선유류절감장비 지원사업의 지원 한도금액을 제한하던 방침을 개선해 어업인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실수요자의 사업 참여를 확대할 수 있게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국내 LED 집어등 시장이 한층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와이즈파워는 고성능, 고효율LED 집어등을 시장에 공급하여 국내 수산업 분야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한편, 해외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09: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159,000
    • -0.59%
    • 이더리움
    • 5,127,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654,000
    • -2.02%
    • 리플
    • 694
    • -0.86%
    • 솔라나
    • 222,600
    • -1.77%
    • 에이다
    • 613
    • -1.45%
    • 이오스
    • 988
    • -0.7%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0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6,350
    • -4.38%
    • 체인링크
    • 22,130
    • -3.02%
    • 샌드박스
    • 576
    • -2.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