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추천종목-우리투자증권

입력 2009-10-19 07: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형주>

▲현대해상(신규)- 동사 보유채권의 듀레이션이 상위5사 중 가장 짧아 금리 상승 시 투자영업이익 증가 예상. 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마다 동사의 내재 기업 가치가 10% 씩 높아지는 점에서 금리 상승의 업종내 최대 수혜주. 수수료 선지급으로 지난해 8월 이후 동사의 이익이 위축돼 왔으나 신계약 마진율 증가로 추가 상각에 대한 우려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동사에 긍정적.

▲두산인프라코어-6월부터 시작된 중국 굴삭기시장 회복세가 지속 건설기계부문의 CKD 수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3분기 동사 매출은 전분기 대비 5.2% 증가한 6584억원(+5.2%,q-q), 영업이익은 539억원(+45.5%, q-q)으로 큰폭의 수익성 개선 예상. 글로벌 업황 회복으로 대규모 적자를 시현했던 DII(Doosan Infracore International)의 실적이 바닥을 통과해 회복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전망되면서 동사의 수익성 및 신용도 역시 동반 개선되는 점도 긍정적.

▲KCC-동사는 정부가 내년부터 '그린홈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함에 따라 보온 단열재 사용량 증가와 열효율이 높은 로이유리 등의 제품 판매증가로 수혜가 예상. 친환경으로 새롭게 부각되는 건자재 사업영역에서 30~50%의 시장 점유율로 국내 1위를 지키고 있으며, 국내유일의 실리콘 생산자라는 점도 긍정적.

▲신세계-신규 출점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2009년 동사의 백화점 부문은 이익성장에 기여하지 못했으나 2010년 백화점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2008년의 6.7% 수준으로 회복이 예상. 또한 할인점의 역성장세가 진정되며 기여하는 영업이익 성장률 역시 8%가 가능할 전망. 동사가 보유한 삼성생명(지분 13.6%) 상장 시기가 가까워질수록 가치가 지속적으로 부각될 전망. 추후 동사의 지분가치는 2조원(시장컨센서스)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

▲LG화학-편광필름의 단가인상으로 인한 정보/전자소재부문의 외형증가 및 석유 화학제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3/4분기 매출액 3조 8286억원(YoY -5.8%), 영업이익 6238억원(YoY +40.8%), 순이익 4910억원(YoY +65.3%)으로 예상. 동사는 중대형 리튬2차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First Mover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중대형 2차전지 시장 확대의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각국의 그린카 확대 정책 및 중대형 전지의 완성차 공급 추가 수주 소식은 주가 상승의 촉매로 작용할 전망.

▲LS-최근 동가격 상승은 LS니꼬동제련의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고 LS전선 제품의 수요 증가를 의미하므로 LS전선의 수익성 개선과 미국 자회사인 SPSX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 영향 예상. LS그룹은 전선 및 발전설비 분야 외에도 전기차 부품사업에도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음.

▲신한지주-수익 기여도가 67%에 달하는 카드를 비롯한 비은행 부문의 실적 개선세로 동사의 2009년 순이익은 기존 예상치 보다 39.2% 상회한 1.2조원(당사 리서치센터 추정치)에 달할 것으로 전망. 파생상품거래 관련한 추가 충당금 또한 금년 말을 전후로 기존 익스포져가 대부분 소멸돼 일부 환입 가능성도 높아짐에 따라 대손비용의 빠른 개선세가 기대됨.

▲제일기획-3/4분기 삼성전자의 세전이익(연결)이 사상 최고치로 예상됨에 따라 4/4분기 동사의 실적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금년 하반기부터 구체화될 미디어 법의 장단기 수혜자라는 점에 주목. 2010년 동계올림픽, 월드컵 및 상해도시엑스포 등 각종 이벤트와 광고 경기의 회복세 전망시 실적 개선세는 지속 될 전망.

▲추천제외종목-삼성테크윈

<중소형주>

▲LG패션-기존 남성복 중심에서 여성복, 캐주얼 및 스포츠 의류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으며, 백화점 중심의 유통에서 벗어나 대형 가두점을 늘리는 등 유통 전략도 변화 중. 이러한 신규브랜드 도입 및 런칭에 따른

매출 성장 및 브랜드 및 유통망 투자의 효과는 내년부터 본격화될 전망. 현 주가는 2009년 P/E 11배로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 판단되며, 양호한 내수 소비가 유지되는 가운데 상반기의 백화점 채널 확대 효과도 발생해 하반기에 견조한 실적이 기대.

▲한국정밀기계-동사는 국내 대표적인 공작기계업체로 CNC수직선반, 수평보링기 등 대형 정밀기계 부문에서 우월적 시장지위를 확보. 연초 대비 하락했던 수주잔고가 3/4분기를 바닥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여 매출성장세기 대되며 과거 3년 평균 영업이익률이 23% 내외로 높은 수익성을 확보.

▲대덕전자-반도체 패키징 기판 부문에서 일본 경쟁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기술력도 개선되면서 실적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음. 주 고객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핸드폰 및 반도체 생산을 늘리면서 핸드폰 메인보드용 PCB와 반도체 패키징용 기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

▲바이넥스-바이오의약품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황에서 KBCC의 민간위탁경영 수의계약 대상자로 선정돼 관련 사업에 대한 성장잠재력 부각. 수지상 세포치료제를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으며, 동 사업의 규모가 2015년 963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연평균 성장률 18%).

▲코오롱생명과학-티슈진C는 수술없이 주사로 관절염을 치료하는 획기적인 치료법으로 현재 한국에서 임상 2상, 미국에서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며, 2012년 출시예정. 2015년에 인공관절 치환술의 15%를 티슈진C가 대체한다고 가정시

약 3,8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의약사업과 환경소재사업은 견조한 매출성장세로 동사의 Cash Cow역할을 하고 있으며, 물사업추진, 지주사 전환 등 코오롱그룹 정책의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긍정적.

▲에스엘-자동차업체용 램프(전조등, 후미등) 섀시부품업체로 전방산업의 회복세에 따라 분기별 매출성장세가 상반기를 바닥으로 회복중 (전분기대비 8% 성장 기대). 원/달러 환율 안정으로 KIKO관련 리스크 축소와 외화환차익이 기대되고 있으며, LED전조등 및 AFLS(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등 램프관련 기술의 성장성이 부각될 전망.

▲대상-2008년에 고가로 매입한 옥수수 투입이 상반기에 완료됨에 따라 하반기 이후 전분당 부분의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최근 국제 옥수수가격이 상반기 대비 약11% 하락하였으며 원화 강세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로 4/4분기 이후에도 이익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추천제외종목-디스플레이텍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9일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손실흡수능력 저하에 ‘자금수혈’ 나선 모기업…기댈 곳 없는 중ㆍ소형 저축은행 어쩌나
  • 대북 확성기 방송의 선곡은…BTS와 볼빨간 사춘기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10: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50,000
    • -0.3%
    • 이더리움
    • 5,190,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666,500
    • +0.08%
    • 리플
    • 699
    • +0%
    • 솔라나
    • 226,300
    • +1.16%
    • 에이다
    • 621
    • +0.49%
    • 이오스
    • 996
    • +0.2%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650
    • -0.38%
    • 체인링크
    • 22,790
    • +0.62%
    • 샌드박스
    • 589
    • +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