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트럼프 관세’에 10년 뒤 성장률 1%대 예상도 …멕시코도 신 관세 도입

입력 2025-01-02 16: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GDP 성장률 2035년 1.8% 전망
중국 美 농산물 대상 보복 관세 예상
멕시코, 소형 화물에 최대 19% 관세

▲지난해 12월 12일 중국 동부 장쑤성 롄윈강 항구에서 수출용 선박에 선적되기를 기다리는 차량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지난해 12월 12일 중국 동부 장쑤성 롄윈강 항구에서 수출용 선박에 선적되기를 기다리는 차량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트럼프 관세 후폭풍’으로 인해 10년 뒤 1%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일 일본경제연구센터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미국이 중국에 60%, 다른 국가 및 지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상대국의 보복 조치가 없을 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3.4%로 하락하고 2035년엔 1.8%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산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대선에서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60%로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중국산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실제 도입 여부와 시기 등은 향후 협상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 관세가 10%라면 중국 수출은 2.3% 감소하고, 60%일 경우 약 14% 줄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대중국 관세가 60%로 인상되면 미국 수입에서 중국 비중이 높은 의류, 신발, 장난감 등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중국은 아직 공식적으로는 보복 조치를 예고하지는 않은 상태다. 중국 상무부는 “일방적인 관세 인상에 반대한다”고 반발했다. 이강 전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지난달 “민의에 부응하려면 보복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인 2018~2019년 미·중 무역 전쟁 당시에는 중국이 대두 등 미국산 농산물을 보복 관세의 첫 타깃으로 삼았다. 트럼프 당선인의 지지자가 많은 농가에 타격을 주려는 의도였다. 최근 대두 수입에서 미국산을 줄이고 남미에서 조달을 늘리는 등 수입처를 분산하고 있지만 이번에도 무역 마찰로 비화하면 농산물을 보복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

관세 장벽을 높이는 국가가 미국뿐만은 아니다. 멕시코는 1일 택배 회사를 통해 수입되는 소형 화물에 최대 19%의 관세를 부과하는 규정을 새롭게 도입했다. 멕시코와 국제조약을 맺지 않은 중국 등에서 택배 회사를 통해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일률적으로 19%의 관세를 부과한다. 중국계 전자상거래(EC) 업체인 테무와 셰인도 표적이 된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모에 휘둘리지 않으려면…코인 커뮤니티를 완벽히 활용하는 법 [코인가이드]
  • 기술 하나로 엔비디아 뚫었다… '330억' 김동선 야심 통할까
  • "오만한 태도" 서울의대 교수 지적에…의료계 "미친 것 같다"
  • 崔대행, 방통위법 거부권… "'권력분립 원칙' 위헌 소지"
  • "전지현, 그녀가 하면 뜬다"…CF퀸이 사는 '아크로 서울포레스트'는 [왁자집껄]
  • “5만 원 저축하면 2배 더 준다”…취약계층 아동 자립 돕는 ‘디딤씨앗통장’[경제한줌]
  • 한 편당 2분…드라마도 '숏폼'으로 본다 [데이터클립]
  • 3월의 대설특보…올해 ‘꽃샘추위’ 원인 제공자는?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3.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40,000
    • -0.53%
    • 이더리움
    • 2,787,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91,400
    • +0.78%
    • 리플
    • 3,348
    • -2.28%
    • 솔라나
    • 183,300
    • -3.02%
    • 에이다
    • 1,036
    • -1.89%
    • 이오스
    • 720
    • +1.55%
    • 트론
    • 326
    • +4.15%
    • 스텔라루멘
    • 396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510
    • +0.28%
    • 체인링크
    • 20,730
    • +2.78%
    • 샌드박스
    • 412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