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AI 기술선택이 미래 결정한다

입력 2023-08-0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 인공지능 이끄는 강국이지만
검열기술에 특화…혁신연결 못해
한국, 맞춤교육으로 인재 양성을

중국은 미국과 함께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국이다. 전반적인 AI 기술에서는 중국이 미국에 뒤처지지만, 발전 속도는 그렇지 않다. 중국은 2022년까지 AI 분야의 특허 출원이 세계 1위이고, 관련 논문도 이미 미국을 큰 격차로 따돌렸다. 이에 비해 한국은 2027년까지 세계 3위로 올라서겠다는 목표를 갖고는 있지만, 아직 기술 선도국 그룹에 속해 있지는 못하다.

중국은 AI 기술 개발에 최적 환경을 갖췄다. 첫째, 정부의 지원이 매우 적극적이다. 첨단산업 육성 정책인 중국제조 2025 이외에도 빅데이터산업과 AI 산업에 대한 별도의 지원정책을 갖고 있다. 둘째, 프라이버시에 대한 규제가 느슨해 빅데이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AI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데 중국은 국가의 힘은 강하고, 개인의 권리는 쉽게 무시되기에 사적 정보 취득이 쉽다. 마지막으로 AI는 공개된 알고리즘에 의존하기에 반도체나 신약을 개발하는 것과는 달리 선발자의 기술을 추격하기 쉽다. 중국과 같은 후발 주자가 따라잡기에 유리한 산업 분야다.

일반적으로 AI가 산업의 여러 분야에 활용되면 생산성이 높아지고, 신제품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렇다면 AI 분야에서 맹렬히 미국을 추격하는 중국이 그 힘을 이용해 미국의 견제를 뚫고 독자적인 경제발전에 성공할 수 있을까. 14억 인구를 통해 축적한 엄청난 데이터로 AI를 계속 발전시키고 그 능력으로 산업현장에서 혁신을 이룰 수만 있다면 그것은 중국에 큰 축복이 될 것이다.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저자인 MIT의 애쓰모글루 교수는 그의 동료와 함께 최근 ‘권력과 진보’라는 역작을 발표했다. 7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의 연구에서 그는 일관되게 기술 발전의 낙관적인 방향성을 부정하고, 공공선을 위해 국가가 기술의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중국을 예로 들면서 국가에 의한 잘못된 기술 선택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생산성 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첫째, 중국의 AI 기술은 감시와 검열에 특화돼 있고, 중국인의 의식을 체제 순응적으로 만든다. 마오쩌둥 시절인 1960년대 중국에서는 ‘레이펑을 배우자’라는 캠페인이 있었다. 누가 강제로 시키지 않아도 레이펑이란 인물처럼 국가가 원하는 일을 자발적으로 하자는 운동이었다.

작금의 중국에서는 이런 공산주의식 모범시민을 만들기 위한 선전선동은 굳이 필요하지 않다. 안면인식 기술과 AI로 가능해진 사회신용체계하에서는 떼거리로 구호를 외치지 않아도 그들이 원하는 모범시민을 양성할 수 있다.

AI를 이용한 디지털 검열은 온라인상에서의 의견 개진도 어렵게 만들었다. 경제학 방법론을 사용한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 젊은이들은 서구언론에 접근해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알고도 이를 쉽게 포기해버렸다. 그들 스스로 검열을 내면화했기에 당국이 적극적으로 검열할 필요조차 없어진 것이다.

둘째, 중국의 특정 AI 기술은 세계 최고이지만, 산업현장으로 확산해 혁신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AI에 대한 정부의 수요가 안면인식과 같은 추적 기술 분야에 집중되면서 민간 기업의 혁신 경로도 그 방향으로 쏠렸다. 대신 지원금에서 소외된 자연어 처리, 언어 논증 등 여타 AI 영역에서의 연구 능력은 떨어졌다.

아마 중국은 감시에 특화된 그들의 경쟁력 있는 AI를 또 다른 권위주의 국가 내지는 불량국가에 수출하고자 할 것이다. 자유와 민주를 중시하는 서구 세력과 억압의 도구를 수출하는 중국 사이의 긴장감이 어쩌면 더 높아질지 모른다.

기술의 선택이 국가의 미래를 결정한다. 중국은 착취적인 사회제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AI 기술을 선택했다. 그들의 눈부신 기술이 아쉽게도 생산성 증대 효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것이 애쓰모글루 교수의 평가다. 중국의 기술 선택이 잘못됐다고 해서 우리가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

한국은 AI 기술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고용을 늘리는 기술, 노동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 등이 필요하다. 이보다 한국 사회에 정말 시급한 기술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AI 개발이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아이들에게 AI 기술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면, 우리의 인적자본은 지금보다 훨씬 좋아질 수 있다는 저자의 지적에 크게 공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즐거우세요?” 밈으로 번진 방시혁-민희진 내분…‘하이브 사이비’ 멱살 잡힌 BTS [해시태그]
  • 단독 부산‧광주‧대구 ‘휘청’…지역 뿌리산업 덮친 ‘회생‧파산 도미노’
  • '겨드랑이 주먹밥' 등장한 일본…10배나 비싸게 팔리는中
  • 홍콩은 거래 시작인데…美 이더리움 현물 ETF는 5월 승인 ‘먹구름’
  • HLB, 간암 신약 美FDA 허가 초읽기…‘승인 확신’ 이유는?
  • ‘휴진’ 선언한 서울대병원…우려한 진료 차질 없어 [가보니]
  • “주담대 선택할 땐 금리가 가장 중요…고정금리 선호도 올라”
  • 산은이 '멱살' 잡고 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D-데이'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969,000
    • -3.18%
    • 이더리움
    • 4,302,000
    • -4.95%
    • 비트코인 캐시
    • 619,500
    • -6.07%
    • 리플
    • 716
    • -2.85%
    • 솔라나
    • 180,700
    • -5.89%
    • 에이다
    • 630
    • -2.93%
    • 이오스
    • 1,097
    • -4.36%
    • 트론
    • 171
    • +0.59%
    • 스텔라루멘
    • 153
    • -3.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50
    • -6.55%
    • 체인링크
    • 18,670
    • -5.9%
    • 샌드박스
    • 591
    • -6.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