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기업 CEO 자리는 선거 전리품인가?

입력 2023-07-04 17:15 수정 2023-07-05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민영화기업 CEO 자리는 ‘선거의 전리품인가’

KT 사장 선임이 어느 정도 마무리 수순을 밟으면서 다음 순서는 포스코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정부에 인선된 포스코 회장에 대한 퇴진 압박이 시작됐다는 의혹이 곳곳에서 제기된다. 특히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정부 행사에서 계속 소외되는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이런 소문은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최 회장의 임기는 2024년 3월까지다. 최 회장은 지난 2019년 3월 포스코 회장 자리에 앉은 뒤 2021년 3월 연임에 성공해 3년가까이 포스코를 이끌고 있다. 역대 포스코 회장들 중 최초로 임기 완주를 코앞에 두고 있다.

그동안 포스코 역사상 연임에 성공하고 임기를 완주한 회장은 단 한명도 없었다. 모두가 불명예 퇴진했다.

특히 포스코 민영화 이후엔 역대 회장들 임기 중도 퇴진 사유가 ‘새 정권 이후 세무조사’라는 공통점이 있다. 포스코 창업자인 고 박태준 초대 회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다툼으로 자리에서 밀려났다. 황경로, 정명식 전 회장 등도 임기를 완주하지 못하고 떠났다. 이구택 전 회장은 이명박 정권 때 세무조사를 받다 자진 사퇴했다. 이 전 회장은 2009년 임기를 약 1년 2개월 남기고 떠났다. 다음 회장 직에 앉은 정준양 회장도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1년 뒤 짐을 쌌다. 정 전 회장도 세무 조사 압박으로 물러났다.

권오준 전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뒤 2018년 세무조사를 앞두고 돌연 사퇴했다.

민영화 당시 포스코홀딩스를 이끌던 유상부 전 회장이 ‘최규선 게이트’에 연루돼 물러난 사례만 빼면 민영화 후 취임한 모든 수장은 새 정부와 동시에 교체됐다.

이렇다 보니 최 회장도 바람앞에 등불 신세라는 목소리고 잦아들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국세청이 지난 4월 포스코홀딩스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을 두고, 새 리더십을 요구하는 윤 정부의 시그널로 보는 시각이 팽배하다.

경제계에서는 이처럼 정권이 바뀔 때마다 흔들리는 포스코의 리더십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포스코는 철강뿐 아니라 친환경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이미 국내를 벗어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는 국가 경제적 자산이다.

정치적 배경이 정상적 기업 활동까지 저해하는 상황은 국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다. 더 이상 어느 정권이든, 주요 민영화 기업의 CEO(최고경영자) 자리가 ‘선거의 전리품’이 되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 이제는 국가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기업 포스코’ 그대로의 역할을 지원하고, 보장해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이른바 엽관주의(Spoils system)라는 것으로, 선거 때마다 승리한 집권정당에 의해 공무원에 대한 대폭적인 인사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은 부조리하고 불합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포스코그룹 대표직은 정부철학과 같이하는 정부 기관자리도 아니고 집권세력이 담당해야한다는 명분도 없는 자리”라며 “엄연히 국영기업체가 아닌 사실상 해외지분도 있는 자리에 낙하산인사를 꽂아놓는 것이 관행처럼 되어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표직은 전문성이 있는 사람이 하는 게 맞다”며 “이러한 병폐는특정 정권이나 좌우 세력의 문제가 아니며, 앞으로 극복해나가야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누군가는 잘못된 관행의 고리를 끊어내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공기관 등 알박기 인사가 우려스럽다. 포스코가 처음에는 기간산업이었을지 몰라도 지금은 민간기업이기에 거리를 둬야 한다”며 “많은 소액주주를 포함해 주주들이 엄연히 있는 주식회사인데 어느 정권이든 자기 입맛에 맞는 인사를 앉히면 안된다. 장기적으로도 인사에 감놔라 배놔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꽃들 기자 flowerslee@ 유진의 기자 jinny 0536@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친 살해 '수능만점자' 의대생, 이미 신상털렸다…피해자 유족도 고통 호소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업종도 진출국도 쏠림 현상 뚜렷…해외서도 ‘집안싸움’ 우려 [K-금융, 빛과 그림자 中]
  • 김수현 가고 변우석 왔다…'선재 업고 튀어', 방송가도 놀라게 한 흥행 요인은? [이슈크래커]
  • 바이에르 뮌헨, 챔피언스리그 결승행 좌절…케인의 저주?
  • 트럼프 "바이든과 다르게 가상자산 적극 수용"…코인베이스 1분기 깜짝 실적 外 [글로벌 코인마켓]
  • 단독 서울시, '오피스 빌런' 첫 직권면직 처분
  • 5월 되니 펄펄 나는 kt·롯데…두산도 반격 시작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61,000
    • -1.5%
    • 이더리움
    • 4,192,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621,000
    • -3.57%
    • 리플
    • 722
    • -2.43%
    • 솔라나
    • 204,800
    • -0.73%
    • 에이다
    • 637
    • -1.55%
    • 이오스
    • 1,123
    • -0.44%
    • 트론
    • 176
    • +1.15%
    • 스텔라루멘
    • 150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800
    • -1.66%
    • 체인링크
    • 19,760
    • +0.51%
    • 샌드박스
    • 608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