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공개매수 종료’ 오스템임플란트, 상장 폐지까지 가능할까

입력 2023-02-23 14: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시스
▲뉴시스
UCK컨소시엄(MBK파트너스, 유니슨캐피탈코리아)의 공개 매수 종료를 하루 앞두고, 시장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 폐지 절차까지 밟을지 주목하고 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UCK컨소시엄은 다음날 오스템임플란트 보통주 공개 매수를 종료한다. 앞서 지난달 UCK컨소시엄은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를 세우고, 인수합병(M&A) 후 상장 폐지를 시키기 위해 오스템임플란트 공개 매수를 진행한다고 공시했다. 매수 가격은 주당 19만 원이다.

덴티스트리는 공개 매수에 응모한 주식이 최소 매수예정수량(239만4782주, 잠재발행주식 총수의 15.4%) 미만일 경우 응모된 증권 전량을 매수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덴티스트리는 이 수량 이상일 경우 응모된 증권 전량을 매수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초 13만7500원이었던 오스템임플란트는 공개 매수 첫날 전날보다 14.65% 오른 18만6300원에 장을 마쳤다.

덴티스트리가 일반 주주를 상대로 주당 19만 원에 주식을 사주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그 가격 이하인 오스템임플란트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후 오스템임플란트는 18만 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여전히 덴티스트리가 제시한 공개 매수가보다 낮아, 일반 주주는 시장에서 파는 것보다 덴티스트리의 공개 매수에 응하는 게 유리하다.

여기에 강성부 대표가 이끄는 행동주의 펀드 KCGI가 일찌감치 공개 매수에 응한 것도 덴티스트리의 공개 매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다. 앞서 KCGI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기업 가치를 충분하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요구했다. 하지만 UCK컨소시엄이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을 인수할 뜻을 내비치자, 결국 공개 매수에 응했다. KCGI는 오스템임플란트 주식 6.92%를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개 매수엔 최소 매정예정수량 이상(15.4%)의 주식이 몰릴 전망이다.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업의 자발적 상장 폐지 기준은 지분 95% 확보이나, 코스닥 시장 상장 기업은 명확한 기준이 없다. 한국거래소로부터 최대한 많은 지분을 인수해 일반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점을 인정받으면 자진 상폐가 가능한 것이다.

앞서 이들이 밝힌 공개 매수 최대 예정 수량은 잠재발행주식 총수의 71.8%(1117만7003주)다.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등 특별관계자가 보유한 주식까지 포함하면 이들이 가진 주식은 18.9%로, 공개 매수 후 보유 비율은 34.3~90.7%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코스닥 기업이) 상장 폐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상장 폐지의 동기와 투자자 보호안이 종합적으로 고려된다”며 “모든 요건을 갖춰 (기업이 자진 상폐를 신청하면) 영업일 기준 15일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8,000
    • +0.11%
    • 이더리움
    • 5,292,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7%
    • 리플
    • 719
    • -0.96%
    • 솔라나
    • 228,600
    • -2.31%
    • 에이다
    • 623
    • -0.8%
    • 이오스
    • 1,124
    • -0.35%
    • 트론
    • 160
    • +1.27%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23%
    • 체인링크
    • 25,600
    • -1.23%
    • 샌드박스
    • 621
    • +2.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