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마스크 해제하니 술집 매출 껑충 뛰었네…전년비 115% ↑

입력 2023-02-20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 소비 업종 매출 증감 파악 'ABC 리포트' 첫 발간

(자료제공=BC카드)
(자료제공=BC카드)

지난달 주점, 영화관, 공연티켓 등 실내마스크 해제와 관련된 업종들의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문화, 운송 등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20년 1월과 비교하면 아직 모자란 업종도 상당했다.

BC카드는 20일 국내 주요 소비 업종의 매출 증감 동향을 분석하는 'ABC리포트'를 처음 발행하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올해 1월 매출액을 전월 및 전년 동월과 비교했다. 코로나19 팬데믹(사회적 대유행) 피해 업종 및 규모 분석을 위해 동일 시점과 비교한 자료도 한시적으로 제공했다.

조사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적용 및 마스크 착용이 필수였던 지난해 1월 매출과 비교했을 때 주점, 문화(영화관, 공연티켓) 등 실내 마스크 해제와 관련된 업종 소비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주점(115.5%), 문화(55.9%), 운송(42.1%), 식당(11.5%) 등의 순서였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20년 1월과 비교하면 아직 모자란 분야도 상당했다. 주점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한 것과 달리 2020년 1월보다는 여전히 16.2% 떨어졌다. 문화, 운송 분야도 각각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27.6%, 29.1%씩 하락했다. 반면 스포츠 분야는 코로나19 이전보다 23.0% 올랐다. 음료(18.8%), 식당(5.8%) 분야도 회복했다.

한편 올해 1월에는 전월 대비 모든 업종에서 소비가 감소했다. 연말 소비 특수성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보고서는 국내 주요 업종에서 발생한 매출을 대분류(7개) 및 중분류(13개)로 재분류한 후, 특정 시점과 비교한 매출 증감 현황 자료로 구성됐다. 매월 초 BC카드 신금융연구소의 콘텐츠 채널을 통해 게재된다.

대분류는 △교육 △교통 △레저 △쇼핑 △식음료 △펫ㆍ문화 △의료 등이다. 중분류는 △교통(운송, 주유) △레저(숙박, 스포츠) △쇼핑(오프라인, 온라인) △식음료(식당, 음료, 주점) △펫·문화(펫, 문화) △의료 등 13개 분야로 세분화했다.

우상현 BC카드 신금융연구소장(부사장)은 "소상공인과 예비 창업자들은 물론 다양한 기관에서 주요 업종의 소비 동향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기 리포트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전 세계적인 고물가, 고금리 상황 속에서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힘을 보탤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첨단 산업 인재 부족 '초비상' [두뇌유출 上]
  • 다시 온 트럼프, 100일간의 역주행 [트럼프 2기 취임 100일]
  • 엔비디아·SK하이닉스·대만 업체 한자리에…컴퓨텍스 2025 미리보기 [ET의 칩스토리]
  • [전문]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후 피해 발생 시 100% 책임"
  • 간병인부터 자녀까지…몰래 돈 빼내고 집 팔아먹기도 [시니어 지갑이 위험하다上 ]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리버풀 프리미어리그 조기 우승, 토트넘은 제물
  • 바이오부터 의료AI까지…‘인재 사관학교’가 산업을 움직인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12: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187,000
    • -0.82%
    • 이더리움
    • 2,564,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502,500
    • -2.14%
    • 리플
    • 3,245
    • +3.08%
    • 솔라나
    • 212,200
    • -0.05%
    • 에이다
    • 1,010
    • -0.69%
    • 이오스
    • 976
    • -1.41%
    • 트론
    • 353
    • -3.02%
    • 스텔라루멘
    • 414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300
    • -7.17%
    • 체인링크
    • 21,210
    • -0.28%
    • 샌드박스
    • 427
    • -3.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