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친환경 고성능 플라스틱 국내 첫 개발

입력 2009-04-09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독자 개발 성공

SK케미칼이 열에 강하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차세대 플라스틱을 독자 개발해 세계시장에 도전한다.

SK케미칼은 최근 내구성 등이 금속에 버금가는 경량 플라스틱인 PPS(Poly Phenylene Sulfide; 열가소성 수지)를 개발하고 오는 2010년부터 상용화 및 양산 체제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온 PPS의 국내 수요를 충당할 수 있게 된 것은 물론 해외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SK케미칼측은 내다봤다.

특히 SK케미칼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초 석유화학 원료를 사용하는데다 부산물과 폐수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유해물질인 염소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친환경 PPS 제조공정을 구축해 경쟁력을 높였다고 강조했다.

SK케미칼은 최근 연산 30t 규모의 PPS 파일롯 생산 설비를 완공한 후 현재 상용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SK케미칼이 신성장 동력의 하나로 야심차게 개발을 추진해왔다. PPS는 섭씨 200도의 고온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 소재로, 기존에 금속재료가 쓰이던 자동차, 전기·전자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PPS는 자체 난연성(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보유하고 있어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난연 및 방염 소재 시장에서도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가장 시장 규모가 큰 PPS의 세계 수요는 2007년 기준 약 5만7000t(4억5600만 달러)에 달하며, 매년 15% 이상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PPS수요는 매년 30% 이상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미국 셰브론 필립스 케미칼, 일본 도레이, DIC 등 3개국 7개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삼성전자, 소니, 애플 등 글로벌 전자업체들은 불에 탈 때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을 발생시키는 염소, 브롬 등 할로겐 성분이 없는 부품소재만 구입하는 '할로겐 프리'(Halogen-free) 규제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며 "이번에 독자 기술로 개발에 성공한 친환경 PPS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72,000
    • -1.82%
    • 이더리움
    • 4,956,000
    • -1.61%
    • 비트코인 캐시
    • 582,000
    • -4.59%
    • 리플
    • 700
    • -0.43%
    • 솔라나
    • 202,100
    • -1.75%
    • 에이다
    • 569
    • -3.07%
    • 이오스
    • 874
    • -6.5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800
    • -4.43%
    • 체인링크
    • 20,140
    • -4.64%
    • 샌드박스
    • 494
    • -8.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