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긴축에 늘어가는 차입비용...경기침체 우려 심화

입력 2022-06-26 15: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10월~올해 5월 순이자 비용 관련 미 정부 지출 30% 증가
10년물 국채 금리 1.5%서 3%대로 오른 영향
의회예산국 “10년 간 차입 부담 사상 최고 수준 전망”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3일 의회 청문회에서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3일 의회 청문회에서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단기간에 가파르게 올리면서 차입비용 증가가 새로운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새 회계연도가 시작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순이자 비용에 대한 미 정부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3110억 달러(약 403조 원)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 연방정부 적자는 79% 줄었지만, 늘어난 차입비용은 정부지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연준이 제로 금리를 1.50~1.75%까지 올리는 동안 10년물 국채 금리는 1.5%에서 3%대까지 상승한 영향이 컸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추이. 단위 %. 24일(현지시간) 3.136%. 출처 마켓워치.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추이. 단위 %. 24일(현지시간) 3.136%. 출처 마켓워치.
예산 전문가들은 정부의 차입비용이 늘면 사회에 필요한 다른 지출들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날 수 있고 가계의 부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초당파 단체 피터 G. 피터슨재단의 마이클 피터슨 회장은 “차입비용 증가는 우리의 부채와 다음 세대의 부담을 증가시켜 미래보다 과거에 더 많은 돈을 쓰도록 압박한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의 줄리언 리처스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더 공격적일수록 금리 상승 폭은 커지고 향후 경기침체 위험은 커진다”며 “이는 금리가 다시 하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연준이 여전히 긴축에 속도를 내고 있고 아직 기준금리 상승분이 국채 금리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은 만큼 긴 시간에 걸쳐 차입 부담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연준은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3% 이상으로 오를 것으로 추정한다.

이 같은 이유로 미 의회예산국은 “앞으로 10년에 걸쳐 미국 경제에서 차입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고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해고가 계속 늘면서 노동시장이 불안한 상태인 점도 경기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밥 슈워츠 옥스퍼드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해고가 점차 늘고 일자리 제안은 줄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한 연준의 정책 결과로 노동 시장이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에 대한 수사들은 냉각되고 있고 대신 경기침체 얘기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며 “이러한 투자심리가 시장을 관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로 주목…'지역사랑상품권', 인기 비결은? [이슈크래커]
  • '202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놀이공원·페스티벌·박물관 이벤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금융권 PF 부실채권 1년 새 220% 폭증[부메랑된 부동산PF]
  • "하이브는 BTS 이용 증단하라"…단체 행동 나선 뿔난 아미 [포토로그]
  • "'밈코인 양성소'면 어때?" 잘나가는 솔라나 생태계…대중성·인프라 모두 잡는다 [블록렌즈]
  • 어린이날 연휴 날씨…야속한 비 예보
  • 2026학년도 대입 수시 비중 80%...“내신 비중↑, 정시 합격선 변동 생길수도”
  • 알몸김치·오줌맥주 이어 '수세미 월병' 유통…"중국산 먹거리 철저한 조사 필요"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200,000
    • +6.27%
    • 이더리움
    • 4,400,000
    • +4.27%
    • 비트코인 캐시
    • 662,000
    • +7.55%
    • 리플
    • 748
    • +1.63%
    • 솔라나
    • 204,400
    • +4.29%
    • 에이다
    • 660
    • +3.13%
    • 이오스
    • 1,161
    • +1.13%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58
    • +1.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450
    • +11.52%
    • 체인링크
    • 19,890
    • +3.65%
    • 샌드박스
    • 635
    • +3.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