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FOMC 의사록, 금융위기 대비 2배 규모 ‘양적긴축’ 시사

입력 2022-04-07 08: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 = KB증권 제공)
(사진 = KB증권 제공)

KB증권은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금융위기 대비 2배 규모의 양적긴축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7일 KB증권은 최근 높은 물가 우려로 다음 달 빅스텝 가능성이 점차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3월 FOMC에서 50bp 금리인상을 주장한 위원은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뿐이었지만, 다수의 위원들은 3월 FOMC 회의에서 50bp의 금리인상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하지만, 50bp 인상을 주장한 다수의 위원들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단기간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25bp 인상을 결정하는 것이 옳다고 언급했다”며 “이와 함께 많은 위원들은 향후 회의에서 적어도 한 차례 이상의 50bp 금리인상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양적긴축은 국채 6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MBS) 40억 달러로 시작해 3개월마다 100억 달러씩 증액돼 최대 500억 달러로 축소된 바 있다”며 “대체로 월 한도를 국채 600억 달러, MBS 350억 달러가 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KB증권은 미국의 양적긴축 규모가 시장의 예상보다 다소 크고 MBS의 매각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장단기 금리차 축소 압력은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임재균 연구원은 “연준이 3개월마다 월 한도를 증액한다고 했지만, ‘보유 채권 만기 상환 한도가 최고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기도 훨씬 짧을 것’이라고 밝힌 전일 브레이너드의 발언을 보면 이보다 빠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더욱이 테이퍼링 규모가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증액된 상황을 고려했을 경우 물가가 높아지고 경기가 견고할 경우 양적긴축의 최대 규모도 950억 달러보다 더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의사록 발표 이후 2.63%까지 상승했던 미 10년은 전일 대비 4.4bp 상승한 2.59%. 반면, 2년은 4.5bp 하락한 2.48%를 기록하면서 장단기 역전을 해소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로 주목…'지역사랑상품권', 인기 비결은? [이슈크래커]
  • '202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놀이공원·페스티벌·박물관 이벤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금융권 PF 부실채권 1년 새 220% 폭증[부메랑된 부동산PF]
  • "하이브는 BTS 이용 증단하라"…단체 행동 나선 뿔난 아미 [포토로그]
  • "'밈코인 양성소'면 어때?" 잘나가는 솔라나 생태계…대중성·인프라 모두 잡는다 [블록렌즈]
  • 어린이날 연휴 날씨…야속한 비 예보
  • 2026학년도 대입 수시 비중 80%...“내신 비중↑, 정시 합격선 변동 생길수도”
  • 알몸김치·오줌맥주 이어 '수세미 월병' 유통…"중국산 먹거리 철저한 조사 필요"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246,000
    • +3.5%
    • 이더리움
    • 4,429,000
    • +2.62%
    • 비트코인 캐시
    • 660,500
    • +3.61%
    • 리플
    • 759
    • +2.43%
    • 솔라나
    • 207,900
    • +3.18%
    • 에이다
    • 662
    • +1.07%
    • 이오스
    • 1,165
    • -0.17%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58
    • +0.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600
    • +4.63%
    • 체인링크
    • 20,130
    • +2.23%
    • 샌드박스
    • 642
    • +1.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