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버핏에 ‘훈수’...“테슬라 주식 사야한다. 하하”

입력 2021-10-19 07: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머스크의 자산은 2360억 달러, 버핏의 두 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3월 캘리포니아에서 모델 Y를 공개하기 전 발언하고 있다. 캘리포니아/A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3월 캘리포니아에서 모델 Y를 공개하기 전 발언하고 있다. 캘리포니아/A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에게 테슬라 주식을 사라고 ‘훈수’했다.

18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머스크는 트윗을 통해 “버핏은 테슬라에 투자해야 한다. 하하”라고 적었다.

자신의 재산이 버핏과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 재산을 합친 것보다 많다는 내용의 트위터 게시물에 단 댓글이다.

블룸버그억만장자지수에 따르면 1위 머스크의 자산은 2360억 달러로, 4위 게이츠(1300억 달러)와 10위 버핏(1030억 달러)의 재산을 합친 것보다 많다. 버핏의 재산보다 두 배 이상 많다.

머스크 재산은 테슬라 주가가 작년 이후 대폭 상승하면서 증가했다. 테슬라 시총은 작년 초 이후 10배가량 불어났다.

테슬라 주가는 현재 870달러를 넘어 이른바 ‘팔백(800)슬라’를 회복했다.

머스크는 이전에도 버핏을 저격했다. 스스로 버핏의 팬이 아니라고 밝히고 버크셔해서웨이의 투자 방식을 따분하다고 묘사했다.

특히 2018년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버핏의 투자 원칙 중 하나인 ‘경제적 해자’ 개념을 비판했다. 해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변을 파서 물을 채워 넣은 방어시설이다.

버핏은 시장 지배력이 높아 경쟁업체가 넘볼 수 없을 정도로 진입 장벽을 구축한 우량 기업을 해자에 비유했는데 머스크는 이를 “변변찮은 개념”이라고 깎아내렸다.

대신 머스크는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것은 혁신의 속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버핏은 코카콜라와 스니커즈 같은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충성도를 언급하며 “머스크가 특정 분야를 뒤집어 놓을 수 있겠지만 사탕에서 우리를 따라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반박했다.

버핏이 1972년 인수해 업계 1위를 달리는 ‘시스캔디’를 두고 한 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4PM' 구독하고 스타벅스 커피 받자!…유튜브 구독 이벤트
  • ‘ETF 매도세’에 비트코인 일시 주춤…“솔라나는 여전히 견조” [Bit코인]
  • 4대 금융지주 직원 평균 연봉 1억7000만 원…KB, 2억 돌파 목전
  • "금리 언제 내려"…방황하는 뭉칫돈 파킹형 ETF로
  • 가장 인기 많은 독재자 푸틴?…독재의 새 역사 썼다 [이슈크래커]
  • 단독 국세청, 세무서 가상자산 계좌 추진…법인계좌 '단계적 허용' 기대감↑
  • 결혼 생각 있는 성인, 겨우 절반 [그래픽뉴스]
  • “순간의 감정으로 피해 끼쳤다”…혜리, 류준열·한소희 저격 사과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13: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331,000
    • -2.53%
    • 이더리움
    • 5,013,000
    • -4.06%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4.97%
    • 리플
    • 901
    • +0.11%
    • 솔라나
    • 275,400
    • -6.83%
    • 에이다
    • 932
    • -4.31%
    • 이오스
    • 1,381
    • -5.8%
    • 트론
    • 181
    • -1.63%
    • 스텔라루멘
    • 187
    • -1.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114,500
    • -6.61%
    • 체인링크
    • 26,030
    • -5.48%
    • 샌드박스
    • 870
    • -6.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