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장동 의혹 본질? 공권력이 국민 재산 약탈한 것"

입력 2021-10-06 10: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경선 후보가 3일 서울 강남구 최인아책방에서 열린 국민캠프 청년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경선 후보가 3일 서울 강남구 최인아책방에서 열린 국민캠프 청년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윤석열 국민의힘 예비경선 후보가 대장동 특혜 의혹과 관련해 공권력에 의한 국민 재산 약탈이라며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윤 후보는 자신의 검사 시절 경험을 비춰 이번 사건이 어떤 대형 비리보다 심각하다며 대선 후보로서 끝까지 추적하고 파헤치겠다고 약속했다.

윤 후보는 6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대장동 게이트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며 "국민 입장에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이 엄청난 범죄가 어떻게 공익의 이름으로 행해질 수 있었는지 모두가 분노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여권 유력 주자인 이 지사를 겨냥해 "성남시장으로 일할 당시 토지를 싸게 강제 수용해서 화천대유가 토지 용도 변경 등을 통해 개발 이익을 무한정 가져갈 수 있게 설계해줬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공의 탈을 쓴 약탈"이라며 "아랫사람 관리 책임으로 꼬리를 자르고, 때로는 적반하장 식 반격과 황당한 궤변으로,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고, 문제의 논점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자신의 검사 시절을 언급하며 "이번 사건이 과거 어떤 대형 비리 사건보다도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재산 약탈의 당사자가 대한민국 지방정부의 수장을 거쳐 이제 집권당의 대선 후보로 확정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우려했다.

그는 "대장동 게이트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국민이 위임한 권력을 이용해 국민의 재산을 약탈하는 행정을 펼쳤던 사람에게 이 나라의 국정을 맡길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장동 게이트를 끝까지 추적하고 파헤쳐서 정부 제1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있음을, 그것이 정의임을 증명해내겠다"고 다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하이브에 화해 시그널 보냈다…"뉴진스 위해 타협점 찾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70,000
    • +0.79%
    • 이더리움
    • 5,276,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46%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3,500
    • +0.73%
    • 에이다
    • 627
    • -0.16%
    • 이오스
    • 1,133
    • +2.16%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41%
    • 체인링크
    • 24,920
    • -2.01%
    • 샌드박스
    • 603
    • -1.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