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자체 스트릿 편집숍 '피어' 매장 확대 가속화

입력 2021-09-14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현대백화점)
(사진제공=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이 MZ세대를 겨냥해 유통업계에서 유일하게 운영중인 스트릿 패션 편집숍 ‘피어(PEER)’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피어’는 스포티앤리치·디스이즈네버댓·JW앤더슨 등 30여 개 국내외 스트릿 패션 브랜드를 비롯해 스케이트보드·리빙 소품 등 MZ세대에게 인기있는 50여 브랜드가 총망라된 편집숍이다.

현대백화점은 신촌점·중동점·더현대 서울에 이어 무역센터점 6층에 자체 스트릿 패션 편집숍 ‘피어’ 4호점을 오픈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무역센터점에 문을 여는 ‘피어’ 4호점은 741㎡(약 73평) 규모다. 신(新)명품이라 불리는 프랑스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 미국 스트릿 브랜드 ‘슈프림’, 영국 컨템포러리 브랜드 ‘스튜디오 니콜슨’ 등 30여 브랜드가 들어선다.

특히, 편의점 콘셉트의 신개념 라이프스타일 스토어 ‘나이스웨더’가 숍인숍으로 입점한다.

지난해 3월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에 첫 매장을 오픈한 ‘나이스웨더’는 직접 큐레이팅한 식음료(F&B) 상품과 패션·리빙 소품 등을 판매해 MZ세대 사이에 두터운 팬덤을 형성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올 2월에는 더현대 서울에도 매장을 오픈하면서 MZ세대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았다. 현대백화점은 올 하반기 중으로 나이스웨더와 협업을 통해 피어 매장에서만 판매하는 단독 상품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밖에 최근 급증하고 있는 2030 골프 인구를 겨냥해 ‘액티브 스포츠’ 카테고리를 새롭게 구성했다. 르쏘넷·포트메인·오뗄 생트로페 등 신생 영골프 브랜드 10곳의 상품과 MZ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패션 브랜드 ‘마르디 메크르디’의 골프 라인도 오프라인 최초로 선보인다.

현대백화점 측은 이번 ‘피어’ 4호점을 시작으로 내년 판교점·대구점 등에 ‘피어’ 매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이 ‘피어’ 매장 확대에 적극 나서는 것은 피어 입점이 신규 고객 유입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실제 2019년과 2020년 피어 매장을 각각 선보인 신촌점과 중동점 유플렉스의 경우, 오픈 후 1년간 고객수가 점포별로 오픈 직전 년도 대비 50% 이상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범죄도시4’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범죄도시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직장 상사·후배와의 점심, 누가 계산 해야 할까? [그래픽뉴스]
  • 동네 빵집의 기적?…"성심당은 사랑입니다" [이슈크래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임영웅 콘서트 VIP 연석 잡은 썰 푼다” 효녀 박보영의 생생 후기
  • 꽁냥이 챌린지 열풍…“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13,000
    • +0.46%
    • 이더리움
    • 4,549,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727,500
    • +3.26%
    • 리플
    • 763
    • +3.81%
    • 솔라나
    • 213,900
    • -0.65%
    • 에이다
    • 719
    • +4.05%
    • 이오스
    • 1,188
    • +3.48%
    • 트론
    • 162
    • +0.62%
    • 스텔라루멘
    • 168
    • +1.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0,300
    • +3.14%
    • 체인링크
    • 21,280
    • +3.6%
    • 샌드박스
    • 679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