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국내 체류 아프간인 434명 인도적 특별체류 허용

입력 2021-08-25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프가니스탄에서 대피한 여성과 아이가 2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의 시고넬라 미 공군 기지에 도착해 미 공군 C-17에서 내리고 있다. 시고넬라/AP뉴시스
▲아프가니스탄에서 대피한 여성과 아이가 2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의 시고넬라 미 공군 기지에 도착해 미 공군 C-17에서 내리고 있다. 시고넬라/AP뉴시스

법무부는 국내에 체류 중인 아프간인 434명에 대한 인도적 특별 체류 조치를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법무부는 합법 체류 중인 아프간인 가운데 체류 기간 연장이 어려워 기한 내 출국해야 하는 사람이 국내 체류를 희망할 경우 현지 정세 등을 고려해 국내 거주지, 연락처 등 정확한 신원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를 거쳐 특별 체류 자격으로 국내 체류와 취업을 허용한다. 합법 체류자로 체류 기간 연장이나 자격 변경이 가능한 사람은 기존대로 허가를 진행한다.

경찰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신병이 인계된 단순 체류 기간 경과자에 대해서는 신원보증인 등 국내 연고자가 있으면 출국명령이나 출국유예 후 아프간 정세가 안정된 후 자진 출국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다만 신원보증인 등이 없거나 형사 범죄자 등 강력사범은 보호 조치한다.

앞서 법무부는 지난 3월 군부 쿠데타로 유혈 사태가 발생한 미얀마의 상황을 고려해 국내 체류 중인 미얀마인들에게 인도적 특별 체류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당시 법무부는 합법 체류자 중 미얀마 현지 정세로 국내 체류를 희망한 경우 임시체류 자격을 부여했고, 체류 기간이 지나 출국해야 하는 사람도 현지 정세가 완화된 후 자진 출국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이번 특별 체류 조치는 아프간 현지 정국 혼란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본국으로 귀환할 수 없는 국내 체류 아프간인들에 대한 인도적인 배려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국민의 염려를 반영해 특별 체류 허가 시 실태 조사를 강화하는 등 국민 안전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탈레반을 피해 자국을 탈출하려는 아프간인 중 과거 한국 정부와 협력한 이들을 국내로 이송하기 위해 군 수송기 3대를 보냈다. 외교부는 아프간인의 국내 이송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331,000
    • +2.09%
    • 이더리움
    • 5,336,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653,500
    • +1.08%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1,800
    • -0.04%
    • 에이다
    • 632
    • -0.16%
    • 이오스
    • 1,138
    • +0.26%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50
    • +0.82%
    • 체인링크
    • 25,250
    • -2.21%
    • 샌드박스
    • 641
    • +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