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의 원견명찰(遠見明察)] 기후변화 이야기- ⑤ 돌아온 미국, 다시 구르는 바퀴

입력 2021-08-2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일렉트릭 사장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CNN 방송은 기후변화를 주제로 하는 대토론회를 7시간에 걸쳐 개최했다. 이전 대통령 선거에서는 거의 거론되지 않았던 기후변화 문제가 이른바 MZ세대라 부르는 젊은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 된 것이다. 기후변화 대응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양대 체제의 주도권 다툼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 이해관계 충돌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새로운 지도자들은 트럼프가 대통령이었던 지난 4년을 기후변화 대응의 잃어버린 시간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지구의 온도 상승을 1.5도 미만으로 억제하기 위한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얼마 전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6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앞으로 20년 이내에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전망은 이전 보고서보다 10년 이상 앞당겨 기후위기가 올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범인류적인 동참이 필요하다. 생존의 문제를 제기하는 개발도상국과도 같이 해야 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속도도 더 높여야 한다. 당근과 채찍을 염두에 두고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새로운 에너지 세계가 열리고 있다. 바퀴는 다시 구르기 시작했다.

미국 정치 지도자들의 시간표는 2021년 10월 3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영국의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26차 당사국 회의(COP 26)에 맞춰져 있다. 탄소 배출량을 늘리지 않는 넷 제로(Net Zero)와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하는 목표를 주제로 삼은 이번 회의는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가 사실상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 이번 회의를 인류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회의라고 규정한 존 케리(John Kerry) 미국 기후변화 특사의 계획은 치밀하고도 정교하며 행동 지향적이다. 미국은 이제 ‘기후변화’라는 용어를 ‘기후위기’로 바꿔 쓸 것을 주장하면서 위기를 극복하고 재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구 온도의 1.5도 이내 상승 억제가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무엇을 할 것인지, 누가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제시하면서 글래스고가 그런 모든 것을 결정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장담한다.

무엇을 할 것인지의 첫째는 재생 에너지의 확대이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대폭 확대하여 온실가스 배출 없이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을 동원해야 한다. 온실가스 포집 및 활용 기술(CCUS), 녹색 수소(Green Hydrogen), 그리고 원자력 기술이 바로 그러한 예가 될 것이다. 셋째로는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같은 효용을 누릴 수 있도록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누가 할 것인지를 다루는 일은 더욱더 중요한 인류의 숙제이다. 2015년 파리에서의 대타협을 끌어냈던 미국으로서는 이제 좀 더 절박해졌다. 지난 6년간의 온실가스 감축은 큰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였고 위기의 시간은 더욱 가까워졌다. 미국과 유럽의 서방국가들은 2015년 약속보다 더 큰 폭의 국가별 감축안을 이미 마련하였다. 세계 1위 배출국인 중국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해진 시점이다. 미국은 중국의 단기 감축 계획(Near Term Reduction Policy)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중국의 입장이 어느 정도 반영될지 아직은 알 수 없으나 양국의 두 번째 대타협을 기대해도 될 듯하다. 세계 3위 배출국인 인도도 어느 정도 미국의 입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일본도 이에 동참할 것으로 미국은 확신하고 있다. 이렇게 주요 20개국(G20) 국가들이 참여하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기준 4분의 3이 구체적인 행동에 돌입하는 것이다.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파격적인 재정 지원을 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함께 하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은 숙제는 어떻게 할 것인지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대로 민간과 금융이 앞서서 끌고 가겠다는 것이다. 이전 칼럼에서 기술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과 금융의 관계가 좋은 예이다. 기업과 민간이 앞서고 정부가 밀면서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이 시대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미국이 끌고 가는 기후위기 대응의 시한(dead line)인 글래스고 회의가 70일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의 준비를 전면적으로 다시 살펴봐야 할 때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눈물의 여왕' 결말은 따로 있었다?…'2034 홍해인' 스포글
  • 오영주, 중소기업 도약 전략 발표…“혁신 성장‧글로벌 도약 추진”
  • 피해자 부모가 오히려 탄원서를…다양한 ‘합의’의 풍경 [서초동MSG]
  • 한화그룹, 우주항공·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미래 신규 사업 발굴 [R&D가 경쟁력]
  • '돈가뭄' 시달리는 건설사…은행 건설업 연체율 1% 넘었다
  • 단독 광주·대구 회생법원 신설 추진…전국 5대 권역 확대 [기업이 쓰러진다 ㊤]
  • 하이브와 갈등 직전…민희진, 뉴진스 MV 감독과 나눈 대화 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 상환 임박 공포에 후퇴…"이더리움 ETF, 5월 승인 비관적"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4: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890,000
    • -3.13%
    • 이더리움
    • 4,549,000
    • -4.23%
    • 비트코인 캐시
    • 657,500
    • -5.05%
    • 리플
    • 723
    • -3.73%
    • 솔라나
    • 193,800
    • -6.47%
    • 에이다
    • 647
    • -4.71%
    • 이오스
    • 1,120
    • -4.92%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60
    • -3.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500
    • -4.29%
    • 체인링크
    • 19,980
    • -2.82%
    • 샌드박스
    • 629
    • -5.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