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미국 장기금리 상승, 국내 실물경기 회복에 부정적"

입력 2021-03-25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이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워 증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실물경기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5일 '한ㆍ미 통화정책 비교: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국내 금융시장과 실물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이 궁극적으로 국내 장기금리, 원ㆍ달러 환율, 위험 프리미엄에 상승 충격을 주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운다는 설명이다. 이는 외국인투자 등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 장기금리 상승이 국내 주요 금융지표를 자극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발생하면 외국인 주식 등 해외자본이 유출돼 증시 하락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미국 장기금리 상승효과가 금융시장을 거쳐 실물시장으로 옮겨갈 것으로 봤다. 이 경우 국내 총생산과 투자 등 주요 거시 경제지표 변수의 위축을 불러온다는 분석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미 장기금리 상승이 금융시장을 통해 실물시장에 파급되면 백신 보급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꾸물거리고 있는 경기 회복이 더욱 지연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향후 한국 통화정책은 기준금리 중심의 단기금리 타겟팅 정책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장기금리의 안정화 관리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국 중앙은행은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을 부분적으로 수용했으나 여전히 재정정책에 편중된 경기부양을 펼쳐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주가지수 급락 등 자산가격 하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경제위기 과정에서 늘어난 각 경제주체의 자금조달비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 경기 회복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장기금리를 하향 안정화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서울서만 36건 접수…강원·경북·충북서도 식별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4,000
    • +0.37%
    • 이더리움
    • 5,334,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2,600
    • -0.39%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39
    • +0.98%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1.16%
    • 체인링크
    • 25,770
    • -0.39%
    • 샌드박스
    • 627
    • +3.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