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노입자 크기의 촘촘하고 일정한 천연 섬유조직 구조로 돼 있는 해조류(Seaweed)는 다양한 먹거리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다가 준 선물이다. 무한한 양식이 가능한 만큼 이를 활용한 기술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허수연 마린기프트 대표는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500년 이상 분해되지 않는 미세플라스틱 화학약품 SAP(고분자 흡수체)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바이오 흡수체(Bio SA)를 개발했다”며 “해조류를 활용한 천연 성분으로 인체 유해성이 없고 생분해돼 친환경적”이라고 자사의 기술을 소개했다. 흡수체는 기저귀, 생리대, 아이스팩, 제습제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천연 흡수체는 2017년 생리대 유해물질 파동 사태 이후 많은 기업이 뛰어들고 있는 사업이다. 기존에 사용되던 SAP은 미세플라스틱 알갱이로 구성돼 환경파괴, 환경호르몬 등의 주범으로 지적됐다. 이에 옥수수, 나무 등 육상식물을 활용한 흡수체가 개발됐지만, 온도에 따라 생장 속도가 다르고 섬유 조직구조가 일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관련 뉴스
마린기프트의 흡수체는 이러한 점을 보완했다. 해조류 소재는 수온이 일정한 바다에서 자라고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다. 또 가뭄 등의 영향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육상식물과 달리 무한 생산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한 기술은 기저귀에 가장 먼저 적용해 2월부터 시제품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샘플테스트 및 크라우드펀딩을 거쳐 7월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
허 대표는 “갓 태어나 세상에 나온 아이들이 가장 먼저 입게 되는 옷이 화학흡수체가 들어간 기저귀인데, 말 못하는 아기들이 화학흡수체로 고통받지 않게 하고 싶다”며 “가장 먼저 천연 흡수체가 필요한 신생아용 기저귀부터 시작해 4~5년까지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차근히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흡수체를 적용한 친환경 아이스팩과 생리대 출시도 준비 중이다. 아이스팩의 경우 원가 등을 고려해 선주문을 받은 후 제작하는 조건부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아이스팩은 순수 물이나 비료로 구성돼 있어 단기간 배송에 적합하다. 그러나 아이스팩에 흡수체가 사용될 경우 냉기 지속시간이 2~3배 길어져 장거리 배송에 유리하다.
허 대표는 “자사 흡수체가 들어간 생리대는 얇은 두께로 안정적으로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데 건강함과 편리한 착용감을 모두 잡을 수 있다”며 “다만 국내의 경우 생리대 생산은 제조 공정을 비롯해 보유한 기술까지 공개해야 하므로 해외에서 생산하고 아마존 등을 통해 판매할 것”이라고 짚었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흡수체를 통해 많은 사람이 건강에 해로운 유해물질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