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4차산업혁명 인력 경쟁력 ‘최하위’…5년 뒤에도 꼴찌

입력 2020-08-11 11:00 수정 2020-08-11 14: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ㆍ中 등 주요국보다 뒤처져…인력부족률 29.4% 달해

우리나라가 4차산업혁명의 인력 경쟁력이 미국, 중국 등 경쟁국보다 뒤떨어져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중퇴) 후 미취업한 청년은 166만 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미래 성장동력인 4차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이다.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인재 육성의 제도적 지원의 변화 없이는 혁신 기술 분야의 인력 부족 현상은 지속돼 5년 뒤에도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1일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 한국 4차산업혁명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부족률은 업계 수요 대비 부족한 인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 등으로 이 분야의 인력부족률은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뒤인 2025년에도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드론(75%) △로봇(55%) 등 분야에서 인력부족률은 현재보다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올해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총 5개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을 100이라 가정 시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처졌다.

5년 후인 2025년에도 한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은 주요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2025년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전망은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로 예상됐다.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공동 1위 포함)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독일은 △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등 4개, 중국은 △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3개, 일본은 △블록체인 △첨단소재 등 2개로 나타났다.

한국은 비교대상 국가들 중 가장 앞선 분야가 단 하나도 없었고,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다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그러나 5년 뒤에는 이마저도 따라잡혀 9개 기술 전 분야에서 비교국가들 중 꼴찌를 기록할 것이라는 암울한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 2020년 중국에 앞서있던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도 중국에 따라잡혀, 2025년 모든 4차산업혁명 기술분야에서 비교대상 국가들 중 꼴찌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5년 후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 미국은 컴퓨팅기술을 제외한 8개, 중국은 △드론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3개, 독일은 △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등 2개, 일본은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2개로 나타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침하(沈下) 현상을 감안할 때 4차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4차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응답자들이 지적한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근로시간, 호봉제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7.4%) △경쟁국 수준 임금 지급 어려움(7.4%) 등이었다.

이에 따라 29.6%에 달하는 응답자들은 국내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ㆍ관ㆍ학 협력 활성화(14.8%) △성과보상제, 유연근무제 등 인력 유치를 위한 유연한 근로환경 및 조직문화 조성(14.8%)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14.8%)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 및 지원(3.7%)을 방안으로 꼽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친 살해 '수능만점자' 의대생, 이미 신상털렸다…피해자 유족도 고통 호소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업종도 진출국도 쏠림 현상 뚜렷…해외서도 ‘집안싸움’ 우려 [K-금융, 빛과 그림자 中]
  • 김수현 가고 변우석 왔다…'선재 업고 튀어', 방송가도 놀라게 한 흥행 요인은? [이슈크래커]
  • 바이에르 뮌헨, 챔피언스리그 결승행 좌절…케인의 저주?
  • 트럼프 "바이든과 다르게 가상자산 적극 수용"…코인베이스 1분기 깜짝 실적 外 [글로벌 코인마켓]
  • 단독 서울시, '오피스 빌런' 첫 직권면직 처분
  • 5월 되니 펄펄 나는 kt·롯데…두산도 반격 시작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96,000
    • -0.37%
    • 이더리움
    • 4,203,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1.88%
    • 리플
    • 723
    • -1.36%
    • 솔라나
    • 206,800
    • +1.62%
    • 에이다
    • 642
    • -0.77%
    • 이오스
    • 1,129
    • +0.71%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49
    • -1.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750
    • -0.84%
    • 체인링크
    • 19,810
    • +1.59%
    • 샌드박스
    • 609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