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교육훈련비 IMF 이후 대폭 감소

입력 2008-10-06 09: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중소기업간 훈련비 격차도 확대

국내 기업들의 교육훈련비 지출이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노동부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발간한 '최근 기업 인적자원개발 동향과 개선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기업의 월평균노동비용중 교육훈련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0.8%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2%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교육훈련비는 1998년 2만8900원에서 지난해에는 2만9500원으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같은 기간 노동비용총액이 233만7000원에서 364만2000원으로 55.8% 증가했다"며 "물가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기업의 실질적인 교육훈련 지출은 외환위기 직후보다 줄어든 셈"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중소기업간 교육훈련비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기업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교육훈련비는 노동비용총액의 1.23%인 5만8100원이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0.29% 수준인 8300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중소기업 교육훈련비가 대기업에 비해 금액 면에서 7분의 1, 교육훈련비 비중 면에서 4분의 1 수준에 머무른 수준이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지난 몇 년간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어 경기에 민감한 교육훈련비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며 "외국 선진기업들이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생존의 해법을 풀어가고 있는 것을 볼 때, 교육훈련비 축소는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기업은 경영환경 악화로 매우 어려운 여건에 놓여 있어 교육훈련에 투자할 여유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인적자원개발 격차에 따른 중소기업의 인력난 심화와 경쟁력 약화 등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상의는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에 각각 '중소기업의 현장중심 교육훈련 지원 강화'와 '경영주의 인식 전환' 등을 주문했다.

상의는 "근로자 직업능력개발 참여율에 대한 대기업와 중소기업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현장중심 교육훈련에 대한 고용보험법상의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고용보험상 집체식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은 이뤄지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인력부족으로 인해 현장직무교육(OJT : on-the-job training)과 같은 현장중심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대부분인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

또한 기업들은 인적자원개발 부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전문인력 확보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상의는 전했다. 아울러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실제적인 업무성과로 나타나도록 성과지향적인 인적자원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15,000
    • -2.49%
    • 이더리움
    • 4,949,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4.01%
    • 리플
    • 723
    • +4.18%
    • 솔라나
    • 201,200
    • -2.94%
    • 에이다
    • 566
    • -3.58%
    • 이오스
    • 878
    • -6%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600
    • -3.36%
    • 체인링크
    • 20,140
    • -5%
    • 샌드박스
    • 490
    • -10.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