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202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입력 2019-06-11 13: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EPA연합뉴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EPA연합뉴스
캐나다가 이르면 202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비닐봉지, 빨대 등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10일(현지시간) BBC방송 등에 따르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금지 대상에 오를 구체적인 품목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며, 물병·비닐봉지·빨대·일회용나이프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트뤼도 총리는 “부모로서 아이들과 함께 해변에 가면 빨대나 스티로폼, 빈 병 등이 없는 곳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는 문제이고, 우리는 무언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캐나다는 아울러 플라스틱 제조업체에게 재활용 책임까지 지우는 방안 역시 검토하고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3분의 1 가량이 일회용으로, 매년 150억 장의 비닐봉지가 소비된다. 매일 사용되는 빨대량은 5700만 개다. 반면 이렇게 소비되는 플라스틱 중 재활용되는 비중은 10%도 안 된다.

캐나다의 이 같은 결정은 지난 5월 180개국이 ‘바다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자’는 유엔의 협약에 동의한 이후 나왔다. 유엔은 ‘매년 800만t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져 생태계와 어업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며 국제 사회가 유해 폐기물을 통제하자는 취지로 체결한 바젤협약의 규제 대상에 플라스틱 쓰레기를 포함시켰다.

앞서 영국도 지난해 8월 플라스틱 빨대와 면봉의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었다. 이 규정은 빠르면 올해 10월, 늦어도 내년 10월께는 발효된다.

지난해 1월 세계 최대 쓰레기 블랙홀 역할을 하던 중국이 환경오염을 이유로 쓰레기 수입을 금지한 영향으로 선진국들이 배출하는 쓰레기들이 국제적 골칫덩이로 떠오른 상태다. 중국 대신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쓰레기를 흡수해왔으나, 최근에는 이들마저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캐나다는 지난 5월 필리핀으로 밀반입됐던 69컨테이너의 쓰레기를 되돌려 받는 소동을 겪기도 했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 시민들은 플라스틱 오염의 여파를 직접 경험해 잘 알고 있다”며 “다음 세대들을 위한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물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06,000
    • +0.64%
    • 이더리움
    • 5,308,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08%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0,200
    • -1.58%
    • 에이다
    • 630
    • +0.16%
    • 이오스
    • 1,134
    • +0%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06%
    • 체인링크
    • 25,610
    • -1.31%
    • 샌드박스
    • 628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