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외인·기관 동반 매물에 이틀째 하락세...1819.39(28.14P↓)

입력 2008-06-03 15:42 수정 2008-06-03 15: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 공세에 이틀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3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1.52%(28.14포인트) 떨어진 1819.39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새벽 미국증시가 신용위기가 재부각되며 동반 하락했다는 소식에 코스피지수 역시 외국인 매물이 몰리면서 15.22포인트 내린 1832.31로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기관의 매도 물량이 더해지며 지수는 1814.50까지 밀리는 등 장중 내내 내림세를 기록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24억원, 1019억원 매물을 쏟아내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고 개인은 2422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았다.

프로그램은 차익거래로 643억원 매물이 나왔고 비차익거래로 759억원 매수세가 유입돼 총 116억원 매수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철강금속(1.18%), 의약품(0.90%)을 제외하고 전 업종이 떨어졌다. 전기전자(2.90%)와 증권(2.73%), 건설업(2.20%), 기계(2.04%)를 비롯해 운수창고, 섬유의복, 음식료업, 유통업, 제조업, 금융업, 서비스업, 화학, 의료정밀, 운수장비, 통신업, 은행 등이 1%대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역시 POSCO(1.74%)와 현대중공업(0.78%)을 제외하고 상위 15위내 종목이 모두 하락했다.

삼성전자(3.03%), LG전자(3.85%), 하이닉스(0.99%), LG디스플레이(4.64%) 등 대형 IT 종목을 비롯해 국민은행(1.09%), 신한지주(2.14%), 우리금융(0.52%) 등의 은행주, 한국전력(1.51%), 현대차(4.92%), KT(0.76%), KT&G(0.91%) 등이 떨어졌다.

종목별로는 최대주주 변경 소식을 호재로 프리네트웍스와 프리네트웍스우가 함께 4거래일째 상한가 행진을 이어갔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집행유예가 결정된 가운데 현대차(4.92%)와 기아차(4.66%)가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상한가 14개 포함 254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1개를 더한 548개 종목이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70,000
    • -0.19%
    • 이더리움
    • 5,287,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0.08%
    • 리플
    • 723
    • -0.82%
    • 솔라나
    • 230,200
    • -1.46%
    • 에이다
    • 628
    • +0.16%
    • 이오스
    • 1,126
    • -0.09%
    • 트론
    • 160
    • +1.91%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200
    • -1.92%
    • 체인링크
    • 25,530
    • -1.28%
    • 샌드박스
    • 620
    • +2.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