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2018년 2분기 3756억 원… 전년대비 7% 증가

입력 2018-07-27 16: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제철은 2018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3756억 원이라고 27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한 5조4477억 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률은 0.6% 축소된 6.9%를 나타냈다.

현대제철은 이번 2분기 경영실적에 대해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계절적 성수기 진입과 고부가 제품 판매 증가 및 대형 프로젝트 수주, H코어(H CORE) 제품 적용 확대 등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2분기 경영실적 호조에도 글로벌 통상압력 심화, 온실가스 추가 감축, 수요산업 부진 지속 등으로 하반기 경영환경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사적 비용 절감 및 생산성 개선활동을 통한 원가경쟁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현대제철은 2분기에 제선원료 최적 배합을 통한 원가경쟁력 극대화, 고부가강 품질지표 개선, 순천공장 3CGL 조기 안정화 등으로 계획 대비 17.5% 개선된 1348억 원의 원가절감을 달성했다.

현대제철은 설비 투자 및 연구개발 현황 등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경영활동도 공개했다. 먼저 미래소재 공급능력 강화를 위해 2019년 4월 양산을 목표로 수소전기차용 금속분리판 공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제철이 생산하는 금속분리판은 현대모비스의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스택에 적용될 예정이다. 향후 수소전기차 시장 성장세에 따라 추가 투자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신규 수요 창출에도 주력해 프론트 범퍼용 150K급 냉연 초고장력강 및 대형 특장차 부품용 80K급 열연 초고장력강 등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2018년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량 29만4000톤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세계 유수의 자동차사에 연간 120만 톤 판매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6.9% 확대하는 등 고부가 제품에 대한 마케팅 강화와 전사적 비용절감을 통해 수익성 향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건설·자동차 등 수요산업의 위축과 불확실성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수익성 개선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50,000
    • -2.23%
    • 이더리움
    • 4,960,000
    • -2.15%
    • 비트코인 캐시
    • 589,000
    • -3.76%
    • 리플
    • 728
    • +5.05%
    • 솔라나
    • 202,000
    • -2.84%
    • 에이다
    • 568
    • -3.24%
    • 이오스
    • 878
    • -5.89%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900
    • -2.93%
    • 체인링크
    • 20,200
    • -4.85%
    • 샌드박스
    • 491
    • -9.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