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달쏭思] 홍길동과 홍자 길자 동자

입력 2017-10-24 10: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버님 성함이 어떻게 되는가?” “아, 네. 홍자 길자 동자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많이 듣는 대화이다. 상대방의 부모님이나 조부모님 등의 이름을 물을 때 묻는 사람도 ‘이름’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성함’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답하는 사람도 곧바로 ‘홍길동’이라고 답하지 않고 낱글자로 풀어서 ‘홍자 길자 동자’라고 답한 것이다.

옛사람들은 이름을 매우 존중했다. 손윗사람의 이름은 반드시 ‘홍길동’이라고 대놓고서 마구 부르지 않고 낱글자로 풀어 불렀는데 이런 예절을 ‘기휘’라고 한다. 기휘는 ‘忌諱’라고 쓰며 각각 ‘꺼릴 기’, ‘이름 휘’라고 훈독한다. 이름 부르기를 꺼린다는 뜻이다. 즉 조상이나 높은 사람의 이름을 입에 올리는 것을 꺼려 어쩔 수 없이 이름자를 입에 올릴 때에는 반드시 “무슨 자 무슨 자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특히, 돌아가신 분의 이름은 반드시 그렇게 낱글자로 풀어서 말해야 한다.

그런데 앞서 예시한 “아버님 성함이 어떻게 되는가?” “아, 네. 홍자 길자 동자입니다”는 둘 다 잘못된 예문이다. 상대방에게 아버님 ‘성함’을 물어서는 안 된다. 상대방과는 통성명(通姓名:서로 성과 이름을 밝히는 인사를 나눔)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 집안의 성은 이미 알고 있으므로 “아버님 함자가 어떻게 되는가?”, 즉 아버님 이름에 사용하는 글자가 어떤 글자냐는 것만 물어야 한다.

‘성함’은 성과 함자, 즉 성과 이름을 아우르는 말이므로 성함을 물으면 이미 통성명한 상대에게 성을 또 한 번 묻는 결례를 범하는 꼴이 된다. 답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이미 상대가 자기 집안의 성을 아는 상태이므로 ‘홍자’라는 말은 빼고 “길자 동자입니다”라고만 해야 한다.

우리말에 존칭이나 공대하는 말이 너무 많아서 어렵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지만 존칭이나 공대말은 우리말이 가진 특별한 장점이기도 하다. 제대로 사용할 때 더욱 빛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1: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20,000
    • -0.14%
    • 이더리움
    • 5,271,000
    • -1.5%
    • 비트코인 캐시
    • 684,500
    • -1.08%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5,100
    • -2.2%
    • 에이다
    • 635
    • -0.47%
    • 이오스
    • 1,083
    • -2.61%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50
    • -1.76%
    • 체인링크
    • 24,020
    • -1.88%
    • 샌드박스
    • 648
    • -0.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