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망] 조금 쉴때도 됐다

입력 2007-11-01 17: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정책금리를 4.5%로 0.25%P인하했다. 역시나 예상했던 그대로다. 그래서일까. 전일 미 증시가 상승 마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증시는 혼조세를 거듭한 끝에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그 이유는 금리인하 효과가 선반영된 측면이 가장 크다.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을 찾아야 되는데, 그것이 쉽게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환율에 대한 부담감도 증폭되고 있고 유가의 강세 역시 증시의 불안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렇다고 또 하락세로 전환할 것 같지도 않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상승여력은 남아있어 어느정도 지수가 올라갈 수도 있겠지만, 이제 좀 쉴때도 됐다며 입을 모은다.

그렇다. 지금 우리 증시는 단기적으로 너무 가파르게 오른 측면이 있다. 게다가 오르는 종목만 올랐다. 이제 좀 쉬면서 좀더 큰 상승 모멘텀을 찾아보고 업종 다변화도 모색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국증권 임정현 책임연구원은 "최근 우리 증시는 글로벌 강세에 힘입어 저평가는 해소된 측면이 있지만, 너무 가파르게 상승했다"며 "물론 11월달은 역사상 강세를 보이는 달이겠지만, 어느정도 쉬어가는 것도 전략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지금은 고평가 수준으로 가는 적응과정이라 보며 당분간 균형점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증시는 2000선을 다져나가는 과정을 전개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했다.

교보증권 이우현 연구원은 "오늘의 장세는 금리인하 효과가 선반영된 측면이 있어 추가적인 모멘텀을 찾아가는 장세가 펼쳐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주말에 미국에서 고용지표가 발표되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투자주체들의 제한된 매매가 변동성을 부추길 수 있다"며 "또한 프로그램 매매에 의한 시장 교란 가능성을 감안하면 시장 접근에 있어 적극성을 표출하기 보다는 단기 위주의 접근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나대투증권 김진호 연구위원은 "쉬어가는 장세는 예상되지만, 그 폭과 기간은 길지 않을 것"이라며 "급변하는 가격변수에 현혹되기 보다는 투자기업의 실제 이익모멘텀을 훼손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그는 최근 반등하고 있는 그 동안의 소외주들에 대해서도 일률적인 판단보다는 개별적, 미시적 접근이 유효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승률 1위 전선株, 올해만 최대 320%↑…“슈퍼사이클 5년 남았다”
  • '하이브' 엔터기업 최초 '대기업집단' 지정
  • 의대생 1학기 유급 미적용 검토…대학들 '특혜논란' 시비
  • [금융인사이트] 홍콩 ELS 분조위 결과에 혼란 가중... "그래서 내 배상비율은 얼마라구요?"
  • 옐런 “중국 관세, 미국 인플레에 영향 없다”
  • 15조 뭉칫돈 쏠린 ‘북미 펀드’…수익률도 14% ‘껑충’
  • 깜깜이 형사조정위원 선발…“합의 후 재고소” 등 부작용 우려도 [조정을 넘어 피해회복 '형사조정제도']
  • 베일 벗은 '삼식이 삼촌', 송강호 첫 드라마 도전에 '관심'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210,000
    • +4.86%
    • 이더리움
    • 4,154,000
    • +3.03%
    • 비트코인 캐시
    • 624,000
    • +3.57%
    • 리플
    • 714
    • +2%
    • 솔라나
    • 213,600
    • +7.23%
    • 에이다
    • 624
    • +3.48%
    • 이오스
    • 1,106
    • +3.56%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48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00
    • +3.34%
    • 체인링크
    • 18,970
    • +3.1%
    • 샌드박스
    • 600
    • +5.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