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환 켐온 대표 "2030년 글로벌 토털 헬스케어 기업 성장"

입력 2017-01-18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송시환<사진> 켐온 대표는 18일 열린 기업공개(IPO) 간담회에서 “비임상시험 분야를 넘어 다양한 분야로의 사업 확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이베스트스팩2호와의 합병 상장을 결정했다“며 “오는 2030년 글로벌 토털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켐온은 비임상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 2000년 설립돼 의약품, 식품, 화학물질, 농약 등 건강과 안전에 관계되는 물질에 대해 세포, 동물 등을 이용해 효능과 안전성(독성)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업체다.

천연물의약품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임상 2, 3상을 각각 승인 받은 신약후보물질의 GLP 독성시험 전부를 수행한 바 있다.

바이오의약품으로 국내 최초 FDA 임상3상 승인을 받은 신약후보물질의 비임상시험 부분을 담당하는 등 선진국의 인허가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시험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국내 CRO에서 가장 많은 특수부위 투여 실적과 함께 다양한 시험 물질에 대한 비임상 시험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성평가연구소(KIT)에서 우수실험실운영기준(GLP)를 국내에 처음 확립한 멤버들 중 다수를 회사의 핵심 인력으로 보유하고 있어 국가의 규제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006년 이후 영업이익을 늘려온 켐온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13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20억 6000만 원, 당기순이익은 16억6000만 원을 기록했다.

켐온은 주력 사업분야인 비임상시험 분야가 2014년 기준 국내 CRO시장의 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는 2019년에는 약 5000억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켐온은 임상시험 분야로 사업 확장 시 최대 7배 규모의 시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켐온은 임상시험 분야로의 사업확장을 통해 전문 CRO로서의 위상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과정 중 ‘non-GLP 효능평가’ 사업의과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 관련 사업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약 2800억 원 규모로 평가 받는 국내 효능평가 시장에서 켐온은 국내 최다 효능평가 항목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했으며, 기초과학연구원 등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체계를 구축했다.

한편 이베스트스팩2호의 합병비율은 1대6.4805다. 합병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예정일은 오는 2월 10일이며, 합병기일은 3월 14일로 예정돼 있다. 합병 후 총 발행주식수는 6230만3867주이며, 합병 신주 상장 예정일은 3월 27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3: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531,000
    • +0.41%
    • 이더리움
    • 5,284,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0.65%
    • 리플
    • 724
    • -0.28%
    • 솔라나
    • 236,500
    • -1.42%
    • 에이다
    • 635
    • -0.16%
    • 이오스
    • 1,090
    • -1.45%
    • 트론
    • 157
    • +0%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0.8%
    • 체인링크
    • 24,150
    • -0.78%
    • 샌드박스
    • 648
    • +0.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