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통신] “영화 만드는 일은 구토와도 같다”-‘할리우드의 기인’ 워렌 비티

입력 2016-12-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화가 왜 뜸하냐고? 우리에겐 영화 말고 인생이 있지 않나, 머리에 맴돌다 토해내고 싶을 때가 있다

할리우드의 총아에서 기인이 되다시피 한 배우 겸 감독 워렌 비티(79)는 한국 팬들에게 나탈리 우드와 공연한 ‘초원의 빛’으로 지금도 기억되고 있다. 그가 미국 역사의 또 다른 기인 하워드 휴즈로 나온 ‘룰스 돈 어플라이’(Rules Don’t Apply)는 ‘타운 앤 컨트리’ 이후 15년 만에 만든 향수 짙은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다. 그가 각본도 쓰고 감독했다. 제목을 우리말로 옮기면 ‘너는 규칙에서 예외야’ 정도의 뜻이다.

영화사 사장인 휴즈가 고용한 젊고 예쁜 예비 스타 말라(릴리 칼린스)와 말라의 젊은 미남 운전사 프랭크(알덴 에렌라익)의 로맨스, 그리고 이들 세 사람의 관계를 그린 영화인데, 방향을 잡지 못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영화에는 그의 아내 아네트 베닝이 말라의 어머니로 나온다.

감색 정장을 한 비티는 나이답지 않게 정정하고 준수한 신사인데 비밀에 싸인 흉물이었던 휴즈처럼 음흉할 정도로 노련했다. 지적이면서 유머와 위트도 있지만 질문에 알맹이가 없는 쭉정이 대답을 하는 것. 신중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엉뚱한 대답을 하거니 오리발을 내미는 식이었다. 인터뷰 후 기념사진을 찍을 때 필자가 한국인이라고 소개하자 비티는 “한국엔 안 가봤는데 가보고 싶다”며 미소를 지었다.

▲워렌 비티. 그도 벌써 79세다.
▲워렌 비티. 그도 벌써 79세다.

△과거가 그리운가.

“1961년 데뷔작 ‘초원의 빛’이 큰 인기를 끌며 순조롭게 할리우드 생활을 시작한 행운아다. 그래서인지 늘 이 영화처럼 과거의 일들을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 ‘초원의 빛’으로 성공한 이후 난 다른 사람들처럼 영화에 계속 나오지 않아도 됐다. 버지니아주의 침례교 가정에서 태어난 나는 여권운동이 한창이던 1958년에 할리우드에 왔는데 그때 영화사들은 성적 혁명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다뤘다. 나도 그 문제는 주저 없이 대응했다(플레이보이로 유명한 자기를 은근히 비꼰 말이다.)”

△영화의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었는가.

“난 늘 몇 개의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영화의 첫 아이디어가 어디서 왔는지 모른다. 그러다가 ‘야, 이거다’ 하고 짚이는 것을 만든다. 이 영화도 그렇다. 난 휴즈를 만나진 않았으나 그를 알던 많은 사람들이 모두 휴즈에 대해 좋게 말하더라. 난 늘 그에 대해 호기심이 있었다.”

△왜 영화를 그렇게 뜸하게 만드는가.

“영화 말고 인생이라는 것이 있지 않은가. 그리고 때론 일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때 진짜 좋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난 때로 영화 만드는 일이 마치 구토와도 같이 느껴진다. 그렇다고 내가 구토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디어가 머리에서 뱅뱅 맴돌고 그런 것이 재미있다가도 그 일로 인해 고문받는 경험을 하게 되면 차라리 모든 것을 구토해버리고 싶을 때가 많다.”

△이 영화는 화려한 할리우드에도 사랑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데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는 말을 믿는가.

“그렇다. 이유는 묻지 말라.”

△반세기 동안 할리우드에서 일하면서 영화계가 어떻게 변화했다고 보는가.

“명성 때문에 내 삶은 큰 변화를 겪었다. 명성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다. 감독으로 말하자면 난 지금과 6개월 전이 다르다. 늘 변하고 적응해야 한다. 영화계도 디지털과 대규모 개봉 등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지금은 개봉일인 금요일과 그 주말에 모든 것이 결정되는데, 예전에는 비평가들의 의견이 영화의 장기 개봉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자연히 감독도 현재의 관객 취향에 적응하지 않을 수 없다.”

△아내, 네 자녀와의 관계는 어떤가.

“우린 모두 아내가 하라는 대로 한다. 자식들과는 협상을 한다. 다 훌륭한 아이들이다. 유명한 부모의 자녀들은 삶이 쉽지가 않아 난 그들의 사생활 보호에 신경을 쓴다. 그리고 난 완벽한 여자와 결혼했다.”

▲휴즈(왼쪽)와 예비스타 말라.
▲휴즈(왼쪽)와 예비스타 말라.

△말라와 프랭크의 로맨스 아이디어는 어떻게 구상을 했나.

“유명 인사의 전기를 영화로 만들자면 어느 정도 허구가 섞여야 한다. 단순히 휴즈에 관한 것이라면 난 안 만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휴즈의 본질만 사용하면서 두 청춘 남녀의 사랑을 가미했다.”

△부모로부터 무엇을 배웠나.

“두 분 다 교육자였다. 아버지는 교육심리학 박사였고 어머니는 연기 교사였다. 그러나 부모는 내게 일절 아무 말도 안 했다. 그래서 난 버림받은 기분이었다. 아버지가 바이올린을 켜는 바람에 나는 서푼짜리 피아니스트가 됐는데, 그래서 뉴욕에 진출했을 때 바에서 피아노를 쳤다.”

△지나간 인생을 돌아볼 때 과거와 달리 했으면 하고 생각하는 것이 있는가.

“없다.”

△‘초원의 빛’이 한국에서 상영됐을 때 한국의 젊은 여자들은 물론 가정주부들까지도 워렌 비티에게 반해 난리가 났었다. 그야말로 열광이었는데 팬들의 그런 광적인 반응을 그리워하는가.

“아니 그럼 한국의 가정주부들이 나로 인해 마음으로 부정을 저질렀다는 말인가. 고맙다. 난 팬들의 그런 열광을 처음부터 아예 기대하지 않았다.”

△할리우드는 감독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난 할리우드를 사랑한다. 할리우드는 나를 매우 친절하게 대해줬다. 그리고 이곳은 내가 살고 있는 곳이다.”

△앞으로 어떤 영화를 만들고 싶은가.

“난 늘 몇 개의 영화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 그러나 난 느린 데다 꼭 그것들을 만들 필요성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아이디어 자체로 머물곤 한다. 아내와 아이들이 세상에서 가장 큰 행복을 내게 가져다 줘 영화보다는 그들과 함께 할 일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며칠 전에 처음으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했다. 앞으로 그것을 더 적극적으로 해 볼 계획이다.”

△명성과 돈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둘 다 무엇이든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게 큰 이점이다. 귀하지만 조심해서 다뤄야 한다.”

△당신은 과거 유명한 바람둥이였는데 재미로 여자들을 즐겼는가.

“언론의 자유가 있다고 해서 아무 질문이나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당신이 질문하면서 즐거워하고 있다는 것도 난 안다. 그러나 난 당신 질문이 사실이 아니기에 대답을 거부하겠다.”

△내년에 여든이 되는데 나이란 무엇인가.

“모르겠다. 현명한 대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처음 할리우드에 왔을 때 누구에게서 배웠는가.

“운이 좋았다. 윌리엄 와일러, 조지 스티븐스, 빌리 와일더, 프레드 진네만, 샘 골드윈, 데이빗 셀즈닉, 대릴 재넉 등이다. 이들로부터 배우고 또 그들과 겨루려고 했다.”

△당신은 나르시스트인가.

“각본가로선 그렇다. 작가의 나르시시즘은 모델이나 배우들보다 훨씬 더 크다.” 블로그: hjpark1230.blogspot.com

-------------

워렌 비티는,, 숱한 여인을 ‘정복’한 플레이보이

제작자 겸 감독, 각본가, 배우인 워렌 비티는 ‘초원의 빛’으로 한순간에 스타가 된 뒤 자신이 제작하고 주연한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가 크게 히트를 치면서 슈퍼스타로 부상, 카리스마와 성적 매력, 그리고 지성과 영화에 대한 정열로 할리우드의 총아가 되었다. 그는 1981년 미국인 공산주의자로 크렘린에 묻힌 존 리드의 실화 ‘레즈’로 오스카 감독상을 받았다. 그의 누나도 오스카상을 탄 배우 셜리 매클레인이다.

골수분자 민주당원으로 한때 대통령 후보 출마설까지 나돈 그는 사람들의 평판이 중요한 정치인과 배우 모두에 적합한 인물이다. 그러나 비티 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바로 플레이보이. 그는 하룻밤에도 몇 차례씩 성행위를 즐기는 정력가로 ‘움직이고 스커트만 둘렀으며 매력만 있다면 워렌은 그걸 차지하려고 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여자를 사랑했는데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의 부인 데위와도 염문을 뿌렸다.

비티와 공연한 여배우는 물론, 다른 많은 연예인들도 다 그에게 함락됐는데 나탈리 우드, 페이 더나웨이, 골디 혼, 줄리 크리스티, 다이앤 키튼, 마돈나, 브리지트 바르도, 레슬리 커론,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진 시버그, 다이애너 로스 등이 그 일부다. 그러나 비티는 1992년 ‘벅시’에서 함께 공연한 아넷 베닝과 결혼한 이후엔 얌전히 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48,000
    • +0.86%
    • 이더리움
    • 5,284,000
    • +1.38%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0.23%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4,100
    • +0.99%
    • 에이다
    • 627
    • -0.16%
    • 이오스
    • 1,135
    • +2.07%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50
    • +0.06%
    • 체인링크
    • 25,050
    • -0.95%
    • 샌드박스
    • 606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