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휴가·육아휴직 사용 못하는 이유 물었더니… 직장 눈치 70%·경제적 부담 20%

입력 2016-11-21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여성가족부 ‘일·가정양립정책 국민체감도’ 조사 결과

국민 70%는 출산휴가·육아휴직·유연근무 등 직장과 가정 생활을 병행하도록 돕는 지원제도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직장 내 분위기를 꼽았다.

21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정부 주요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국민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 '직장 내 분위기'(68.8%), '경제적인 부담'(20.6%)이라고 답했다.

일·가정 양립제도 확산에 가장 필요한 사항을 묻는 질문에도 '사업주의 인식 개선'이 41.5%로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강화'는 답변도 38.6%에 달했다.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정보는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월 200만원 미만 소득 가구 중에서는 70.7%가 정부 정책을 인지하고 있는 반면 800만원 이상 가구 중에서는 87.7%가 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규직은 78.9%, 비정규직은 74.6%가 제도를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제도별로는 가장 먼저 도입된 '출산휴가' 제도가 인지도(95.4%)와 필요도(95.1%), 효과성(95.9%) 등 모든 항목서 가장 점수가 높았고 ‘시간제보육’ 등 최근 도입된 제도의 인지도 등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제도는 '출산휴가·육아휴직의 정착'(32.5%), '가족친화경영 확산' (31.3%), '돌봄서비스 확충'(18.4%), '남성들의 육아참여 활성화' (17.2%)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현재 육아휴직 가능 기간 1년 중 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에 대해 할 수 있었던 근로시간 단축 기간을 최대 2년까지 확대하고, 중소기업 육아휴직 지원금을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 맞춤형 일·가정 양립제도 매뉴얼을 제작· 배포하는 등 현장 밀착형 홍보를 강화하고 위반 사업장에 대한 스마트 근로감독 실시해 돌봄 서비스 기반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00,000
    • +0.23%
    • 이더리움
    • 5,313,000
    • +0.53%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1%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1,300
    • -0.94%
    • 에이다
    • 634
    • +1.28%
    • 이오스
    • 1,135
    • +0.89%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99%
    • 체인링크
    • 25,790
    • -0.23%
    • 샌드박스
    • 626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