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전국 2만여 가구 입주…전월 比 22.8% ↑

입력 2016-09-16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 10월 아파트 입주물량은 2만992가구로 전월 대비 22.8%(3896가구)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7490가구, 지방은 1만3502가구에서 입주를 준비하고 있다. 이 중 입주물량이 증가한 지역으로는 △경남(2244가구 증가) △경기(2198가구 증가) △대구(1743가구 증가) △부산(1367가구 증가) △강원(1068가구 증가) 등으로 전월과 비교해 입주물량이 늘어난다.

수도권의 경우 전월(8209가구) 대비 8.8%(719가구) 감소한 7490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서울에서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신일해피트리’ 68가구 등 총 198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10월 가을 이사철 성수기가 도래하는 시점에서 새 아파트 전셋집을 찾는 수요자들에게는 아쉬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10월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198가구로 이는 전월(1709가구) 대비 88.4%(1511가구) 감소한 물량이다. 또한 일반 수요자들에게 입주 제한이 있는 ‘서울중계(증축영구임대3단지)’ 130가구를 제외하면 1개 단지에서만 입주를 진행하는 셈이다.

경기에서는 광주시 역동 ‘e편한세상광주역’ 2,122가구, 화성시 청계동 ‘동탄2신도시 신안인스빌리베라2차’ 644가구, 성남시 창곡동 ‘위례자이’ 517가구 등 총 7292가구가 입주를 준비하고 있다.

지방은 비교적 입주물량이 풍부하다. 오는 10월 입주물량은 전월(8887가구) 대비 51.9%(4615가구) 증가한 1만3502가구에 달한다. 부산에서는 사하구 구평동 ‘e편한세상사하1차’ 1068가구 등 총 2366가구가 입주자를 맞이한다. 경남에서는 김해시 진영읍 ‘김해진영휴먼빌’ 497가구, 양산시 물금읍 ‘양산대방노블랜드6차’ 703가구 등 총 2353가구가 입주를 한다. 대구에서는 수성구 파동 ‘대구수성IPARK’ 455가구, 달성군 옥포면 ‘대구옥포대성베르힐(C-1 B/L)’ 1067가구 등 총 1994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이 외 지방 도시별 총 입주물량은 △강원 1692가구 △충북 1095가구 △전남 721가구 △충남 619가구 △경북 594가구 △광주 506가구 △대전 408가구 △전북 337가구 △세종 310가구 △제주 290가구 △울산 217가구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5: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36,000
    • +0.83%
    • 이더리움
    • 5,210,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9%
    • 리플
    • 722
    • +0.14%
    • 솔라나
    • 231,500
    • -0.26%
    • 에이다
    • 624
    • +0.48%
    • 이오스
    • 1,126
    • +1.44%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50
    • +0.93%
    • 체인링크
    • 24,830
    • -3.05%
    • 샌드박스
    • 607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