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창의ㆍ수평적’ 조직 탈바꿈 삼성전자… 공통호칭 ‘00님’

입력 2016-06-27 14: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공서열형 7단계 직급체계, 직무·역할 중심 4단계로 단순화

“00님, 책상 위 파일 좀 주세요.”, “00프로, 회의 시작합니다.”

내년 3월부터 삼성전자 사무실에서 ‘00대리’, ‘00과장’ 호칭이 사라진다. 대신 임직원 간 공통호칭인 ‘님’이 사용된다. 또 연공서열형 7단계 직급체계는 직무·역할 중심의 4단계로 단순화된다.

삼성전자는 27일 ‘경력개발 단계(Career Level)’ 도입을 통한 직급체계 단순화와 수평적 호칭을 골자로 한 ‘인사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인사제도 개편의 목적은 창의적·수평적 조직문화 조성 및 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다.

우선 수평적 호칭을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인 조직으로의 탈바꿈을 꾀한다. 전사 공통호칭은 ‘님’으로 하되, 업무 성격에 따라 부서 내 팀별로 ‘님’, ‘프로’, ‘선후배님’ 및 영어 이름 등 다양한 수평적 호칭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팀장, 그룹장, 파트장, 임원은 직책으로 호칭한다.

직급체계는 업무와 전문성 중심으로 개편된다. 기존 7단계(사원1/2/3·대리·과장·차장·부장) 직급체계가 승진연한에 따른 기계적·수직적 직급이었다면 새롭게 도입되는 4단계(CL1~CL4) 경력개발 단계는 임직원의 직무역량을 실질적으로 반영한다. 글로벌 기업과 협력이 많은 만큼 직무 중심의 직급체계를 통해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 대부분의 인사체계는 직무 중심의 등급제다. 이번 직급체계 간소화를 통해 해외 바이어들과의 불필요한 업무상 혼선을 피함과 동시에 실질적인 업무 역량 강화가 기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수평적·창의적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회의문화·보고문화 개선, 불필요한 잔업·특근 근절, 계획형 휴가 정착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회의는 반드시 필요한 인원만 참석해 자유롭게 의견을 내고, 회의 결론을 도출해 이를 준수하는 문화를 확산한다. 보고의 경우 의사결정과 실행력 강화를 위해 직급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대신 ‘동시보고’를 활성화해 핵심내용을 전달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상급자 눈치를 보며 퇴근하지 않는 눈치성 잔업, 불필요한 습관성 잔업, 특근을 근절한다. 직원들이 연간 휴가계획을 사전에 자유롭게 수립해 충분히 재충전할 수 있는 휴가문화를 정착하는데도 노력을 기울인다. 삼성전자는 이미 지난해부터 모든 사업부서에 당해 연차를 모두 사용하라는 지침을 전달하며 연차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이밖에 올해 하절기부터는 임직원 편의를 위해 반바지 착용도 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높아지는 日정부 압박 수위…라인야후, 네이버 색깔 빼기 본격화
  • 대북 확성기 설치 언제부터?…북, 오물 풍선 대응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황선우, 마레 노스트럼 자유형 200m 금빛 물결…대회 2관왕 달성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0: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98,000
    • +0.28%
    • 이더리움
    • 5,294,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639,000
    • -1.54%
    • 리플
    • 721
    • -0.69%
    • 솔라나
    • 227,900
    • -2.23%
    • 에이다
    • 624
    • -1.11%
    • 이오스
    • 1,118
    • -1.84%
    • 트론
    • 161
    • +1.9%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000
    • -1.64%
    • 체인링크
    • 25,250
    • -2.13%
    • 샌드박스
    • 610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