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저가 하도급 논란' 대우조선해양, 700억대 공정거래 소송 승소

입력 2016-02-18 05: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법원 "삼성중공업·현대중공업과 비교해도 부당하게 낮은 단가 아냐"

대우조선해양이 700억원이 걸린 공정거래 소송에서 승소했다. 공정위는 대우조선해양이 하도급 단가를 지나치게 낮게 책정한 잘못이 있다고 봤지만, 법원은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서울고법 행정2부(재판장 이균용 부장판사)는 대우조선해양이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 등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판결이 확정되면 공정위가 부과한 과징금 267억 4700만원은 취소된다. 또 대우조선해양이 하도급업체 89곳에 추가로 지급하라고 명령받은 대금 436억 4707만원 역시 없던 것으로 된다. 회사 입장에서는 총 703억 9407만원 상당의 손실을 예방한 셈이다.

재판부는 대우조선해양이 정한 하도급 대금이 일반적으로 지급되는 대가 보다 낮은 수준이 아니라고 봤다. 대우조선해양과 유사한 규모의 선박건조업자인 삼성중공업이나 현대중공업과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금액을 지급했다는 것이다.

재판부는 "대우조선해양이 내부적으로 정해진 '생산성 향상률'을 경영목표 차원에서 변경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생산성 향상률은 생산인력 1인당 늘릴 수 있는 작업량 목표치를 말한다. 대우조선해양은 내부적으로 정한 생산성 향상률을 반영해 하도급 대금을 결정해왔다.

재판부는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이 수급사업자들의 요청을 검토해 당초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인정되면 사후적인 보완을 해줌으로써 하도급 대금을 결정하는 데 수급사업자들의 의사를 반영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89개 수급사업자 대표 중 59명은 대우조선해양 직원으로 평균 20년 정도 근무한 사람들이고, 나머지 대표들도 경쟁업체에서 장기간 근무한 경력이 있다"며 "전년도 평균 생산성 향상률을 바탕으로 다음 연도 목표가 어느 정도 될 것인지 예측해 협의에 반영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선박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블록 제작 업무를 89개 중소기업에 위탁해왔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매년 말 다음 사업연도의 기본계약에 반영할 생산성 향상률을 내부적으로 정한 뒤 사업계획설명회를 통해 수급사업자 대표들에게 알렸다. 그러자 공정위는 2013년 12월 "대우조선해양이 수급업체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낮은 단가를 결정한 것은 부당행위"라며 과징금과 함께 시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불복한 대우조선해양은 2014년 1월 소송을 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01,000
    • -2.09%
    • 이더리움
    • 4,915,000
    • -2.29%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5.57%
    • 리플
    • 701
    • -0.28%
    • 솔라나
    • 200,000
    • -2.3%
    • 에이다
    • 565
    • -3.58%
    • 이오스
    • 874
    • -6.4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150
    • -5.36%
    • 체인링크
    • 20,000
    • -4.67%
    • 샌드박스
    • 490
    • -9.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