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BC, 1억弗 규모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 발표

입력 2007-05-30 10: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 주요 환경 단체들과 협력, 기후 변화 공동 대응을 위한 5개년 계획

HSBC는 전 세계 기후 변화에 긴급 대응하기 위해 세계 주요 환경 단체와 협력키로 하는 1억달러 규모의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Climate Partnership)’을 30일 발표했다.

HSBC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단체는 기후 그룹(The Climate Group), 어쓰와치 연구소(Earthwatch Institute), 스미소니언 연구소(Smithsonian Tropical Research Institute, STRI)와 WWF 등이다.

HSBC 기후 변화 공동 프로그램은 주로 내용으로는 ▲홍콩, 런던, 뭄바이, 뉴욕, 상하이 등과 같은 세계적인 대도시를 더욱 푸르고 깨끗하게 만들어 협력 단체와 함께 세계적인 모델로 발전 ▲전세계에서 ‘기후 챔피언(Climate Champions)’을 선정해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그 지식과 경험을 커뮤니티에 돌아와 활용 ▲세계적인 밀림 지역에 대해 유례없는 대규모 현장 실험을 통해 탄소를 측정하고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파악 ▲아마존, 갠지스, 템즈, 양쯔강 등과 같은 세계 4대 강을 기후 변화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이 강에 의존하는4억 5000만명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HSBC그룹의 스티븐 그린(Stephen Green)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존경받는 4개 환경 단체와 협력하고 HSBC 직원 수천명을 선정해 그린 팀(Green Team)을 구성함으로써 우리는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HSBC는 향후 5개년 동안 비지니스를 운영하고 전세계 고객들과 일하는 방식에서도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HSBC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은 총 1억달러 규모로 각 협력기관이 영국기업으로부터 받은 기부금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며,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환경 단체를 지원하는 이색적인 형식이 특징이다. 이 기부금은 새로운 국가와 연구 현장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더 많은 사람들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기후 그룹의 스티브 하워드(Steve Howard) 사장은 “기후 변화는 점점 더 큰 도시 문제가 되고 있다. 점점 더워지는 여름, 태풍, 해수면 상승 등 도시 생활에 더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어 우리 모두 지금 행동으로 나서야 한다”며 “해결책은 자본이 집중되어 있고, 의사 결정권자, 오피니언 리더와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서 찾을 수 있다. HSBC와의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에 영향력 있는 기업, 시 정부 등이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려는 ‘협력 의지’를 갖고 함께 참여함으로써 우리는 세계 5대 도시에 대한 프로그램을 가속화시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쓰워치 유럽지역 연구소(Earthwatch Institute)의 나이젤 윈저(Nigel Winser) 수석 이사는 “사람들은 어둡고 암울한 메시지보다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긍적적인 해결방안을 알고 싶어한다”며 “우리는 HSBC 글로벌 팀과 협력하여 온라인 교육과 기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전세계 밀림을 후손들에게 유산으로 남겨주기 위한 행동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스미소니언 연구소의 아이라 러빈도프(Dr Ira Rubinoff) 이사는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약 100년 동안 파나마 지역의 열대우림 기후를 연구해왔다”며 “우리는 장기적이고 표준화된 밀림 관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전세계 지구 관찰 네트웍을 새로 만들어 전세계 주요 열대 우림 지역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WWF인터내셔널의 제임스 리프(James Leape) 총재는 “관리 소홀과 불충분한 사용으로 지구의 물 공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기후 변화는 물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기 때문에 WWF는 HSBC와의 기후 변화 공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적인 강과 기후 변화에 대한 영향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신기술은 4억5000만명의 인구와 환경에 관련된 전세계 수질 안전을 확보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97,000
    • -2.62%
    • 이더리움
    • 4,980,000
    • -3.02%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4.14%
    • 리플
    • 680
    • -2.3%
    • 솔라나
    • 216,200
    • -2.39%
    • 에이다
    • 602
    • -3.06%
    • 이오스
    • 965
    • -2.23%
    • 트론
    • 165
    • +1.85%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50
    • -6.56%
    • 체인링크
    • 21,670
    • -2.26%
    • 샌드박스
    • 559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