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2월 7일 六花紛紛(육화분분) 눈이 어지럽게 내리네

입력 2015-12-07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중국의 4대 기서(奇書) 가운데 하나인 수호지(水滸誌)에 송강(宋江)이 입춘 무렵 휘하 두령들과 함께 눈 구경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봄맞이를 하려고 나섰는데 큰눈이 내린 모양이다. 두령 가운데 지문성(地文星) 성수서생(聖手書生) 소양(蕭讓)이 눈송이는 모양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며 이렇게 말한다.

“한 잎은 봉아(蜂兒), 두 잎은 아모(鵝毛), 세 잎은 찬삼(攢三), 네 잎은 취사(娶四), 다섯 잎은 매화(梅花), 여섯 잎은 육출(六出)이라고 한다. 눈은 원래 음기가 굳은 것이고 육출은 음수(陰數)가 뭉친 것인데, 입춘이 지나면 모두 매화 아래이고 육출은 내리지 않는다. 그런데 오늘은 겨울과 봄이 바뀌는 때여서인지 다섯 잎도 있고 여섯 잎도 있다.”

재미있는 말이다. 그런데 이런 말을 듣다 보면 궁금해진다. 눈의 결정체가 육각형이라는 건 지금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걸 어떻게 알았을까?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는 어떻게 새처럼 하늘 위에서 내려다본 듯 우리나라 지형을 알아냈을까?

어쨌든 풀과 나무 꽃의 잎이 보통 다섯 이하인 데 비해 눈은 육출이나 육화(六花)라고 불러왔다. 아름다운 티끌이라 해서 옥진(玉塵)이라는 말도 쓴다. 눈이 펄펄 내리면 비비(飛飛)나 분분(雰雰), 어지럽게 흩날리면 난비(亂飛)나 분분(紛紛)이라고 할 수 있다. 몹시 내릴 때는 비비(霏霏), 오락가락 가볍고 아름다우면 비비(斐斐)라고 한다.

오늘이 대설이지만 며칠 전 서울에 대설이 내렸다. 눈은 ‘풍년의 징조’[豊年之兆]라는데 올 겨울은 어떨지? 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하얘지는 백은세계(白銀世界) 건곤일색(乾坤一色)이 된다. 검은 겨울에 흰 눈이라는 뜻에서 현동소설(玄冬素雪)이라고도 한다. 하늘나라 선녀들이 꽃을 뿌려준다는 천녀산화(天女散花)라는 말도 재미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7,000
    • +0.39%
    • 이더리움
    • 5,333,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2,600
    • -0.39%
    • 에이다
    • 635
    • +1.44%
    • 이오스
    • 1,139
    • +0.98%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1.05%
    • 체인링크
    • 25,900
    • -0.27%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