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 속 버팀목 삼총사는 '뷰티·푸드·전자'

입력 2015-11-16 06: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들어 전반적인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뷰티와 푸드, 전자제품군에 속한 품목들이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호조 업종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서 1천만달러 이상 수출품목 730개의 올해 1∼9월 수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175개 품목이 5% 이상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는 이같은 '역주행' 품목을 유형별로 묶어보니 K-뷰티(beauty), K-푸드(food), K-전자 등 3가지로 요약된다고 설명했다.

K-뷰티제품군은 눈화장품(36.9%), 립스틱(30.9%), 비누(61.2%), 샴푸(74.1%), 언더셔츠(7.2%), 스웨터(6.5%) 등으로 평균 53% 증가했다.

K-푸드제품군은 평균 24.2% 늘어났는데 우유(13.3%), 분유(38.0%), 맥주(14.9%), 쇠고기(36.4%), 김(15.7%), 빙과류(8.2%), 담배(35.2%) 등이 대표적이다.

무선통신기기부품(28.8%), 반도체장비(17.5%), 소프트웨어(10.5%), TV카메라(64.5%), 전기밥솥(9.7%) 등 K-전자군은 평균 24.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3가지 제품군은 산업특성에 맞는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한 제품들"이라며 "교역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전체 교역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 그들의 성공비결을 눈여겨봐야 할 때"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K-뷰티의 성공비결은 '창조적 차별화'"라며 "쿠션, BB크림, 마스크팩, 한방샴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창조적으로 만들어내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했다"고 설명했다.

K-푸드의 경우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신뢰구축' 전략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했다.

국내산 우유와 분유가 대표적 사례로 지난 2008년 중국의 멜라닌 분유 파동 후 현지에서 신뢰도 높은 유제품으로 자리잡았다.

K-전자는 '다각화보다는 전문화'를 통해 무선통신기기부품, 반도체장비, 전기밥솥 등이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수출절벽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는 업체들도 많다"면서 "이들 기업에 대한 성공포인트를 면밀히 분석하면 새로운 수출동력을 찾는데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국힙원탑' 민희진의 기자회견, 그 후 [해시태그]
  • [유하영의 금융TMI]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 된 ‘정책금융’…부동산PF에도 통할까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번엔 독일행…글로벌 경영 박차
  • ‘이재명 입’에 달렸다...성공보다 실패 많았던 영수회담
  •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대상 ‘만 19~39세’로 확대
  • "고구마에도 선이 있다"…'눈물의 여왕' 시청자들 분노 폭발
  • 투자자들, 전 세계 중앙은행 금리 인하 연기에 베팅
  • 잠자던 '구하라법', 숨통 트이나…유류분 제도 47년 만에 일부 '위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913,000
    • +0.62%
    • 이더리움
    • 4,708,000
    • +4.83%
    • 비트코인 캐시
    • 684,000
    • +1.26%
    • 리플
    • 742
    • +0.41%
    • 솔라나
    • 202,400
    • +3.42%
    • 에이다
    • 670
    • +2.92%
    • 이오스
    • 1,157
    • -1.03%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64
    • +1.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550
    • +2.58%
    • 체인링크
    • 20,080
    • -0.69%
    • 샌드박스
    • 650
    • +1.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