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9월 30일 齒亡舌存(치망설존) 이는 다 빠져도 혀는 남아 있다

입력 2015-09-30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전국시대(戰國時代) 위(魏)의 유세가 장의(張儀)는 진(秦)의 재상이 되어 소진(蘇秦)의 합종책(合縱策)을 연횡책(連衡策)으로 깨고 열국이 진나라에 복종하게 했다. 그가 초나라 재상 소양(昭陽)의 문객일 때 화씨벽(和氏璧) 도둑으로 몰려 죽도록 곤장을 맞은 일이 있다.

아내가 “아아, 당신이 독서와 유세를 하지 않았다면 어찌 이런 치욕을 당했겠어요?”라고 했다. 그러자 장의는 “내 혀가 온전한가 어떤가?” 하고 물었다. 아내가 웃으며 “혀가 있는데요” 하자 장의는 “그러면 됐소”라고 했다.[其妻曰 噫! 子毋讀書遊說 安得此辱乎 張儀謂其妻曰 視吾舌尙在不 其妻笑曰 舌在也 儀曰 足矣] ‘내 혀가 아직 있다’[吾舌尙在], 사마천 사기의 장의열전에 나온다.

‘혀가 아직 있다’는 말은 치망설존(齒亡舌存), 치폐설존(齒弊舌存)에도 나온다. 한(漢)의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의 경신(敬愼) 편에 노자(老子)와 상종(常樅)의 고사가 실려 있다. 樅은 ‘전나무 종’자다.

노자가 와병 중인 스승에게 가르침을 구하자 상종은 “고향을 지나갈 때는 수레에서 내려라” 하고 일렀다. 노자는 “고향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시지요?”라고 답했다. 상종이 다시 “높은 나무 아래를 지나갈 때에는 종종걸음을 하라”고 하자 노자는 “어른을 공경하라는 말씀이시군요”라고 답했다. 상종이 입을 벌려 “내 혀가 아직 있느냐?”, “내 이가 아직 있느냐?” 하고 잇따라 물었다. 그리고 이는 다 빠졌는데 혀가 남아 있는 이유를 아느냐고 물었다.

노자는 “혀가 남아 있는 것은 부드럽기 때문이고 이가 다 빠진 것은 강하기 때문입니다”[夫舌之存也 豈非以其柔耶 齒之亡也 豈非以其剛耶]라고 대답했다. 상종은 “천하의 일을 다 일러주었다”고 했다. 강한 자는 망하기 쉽지만 유연한 자는 오래 갈 수 있음을 깨우치는 고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7,000
    • +0.33%
    • 이더리움
    • 5,329,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9%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300
    • -0.51%
    • 에이다
    • 633
    • +1.12%
    • 이오스
    • 1,137
    • +0.71%
    • 트론
    • 158
    • +1.9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1.05%
    • 체인링크
    • 25,920
    • -0.35%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