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잠재성장률 2% 붕괴시기 빨라진다…저성장 고착화 우려

입력 2015-09-21 0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경제의 앞날이 첩첩산중이다.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의 전망치는 갈수록 낮아져 세계 금융위기 충격을 받은 2009년 이후 6년 만에 최저로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내수가 살아나지 않는데다 수출마저 부진하기 때문이다.

잠재성장률 2% 붕괴가 예상보다 빨리 일어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한국 경제성장, 6년 만에 최저 전망

21일 세계 금융시장에 따르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힌국 경제는 지난해 3.3% 성장을 했지만 올해 3%대 성장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올해 초 해외 금융기관들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3.50%였다. 한국 경제가 이후 수출과 내수의 부진 등에 시달리면서 성장률 눈높이는 점점 낮아졌다.

한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지난 7월 중순 3% 아래로 떨어지고서 계속 추락했다.

지난 17일 기준 해외 금융기관 36곳이 제시한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2.5%다.

모건스탠리와 무디스, 코메즈방크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2.3%로 예상했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저조한 성장률을 보인 2012년(2.3%)과 같은 수치다.

노무라와 IHS이코노믹스, ANZ은행, 웰스 파고의 전망치는 각각 2.2%였다.

독일의 데카뱅크의 전망치(2.1%)는 더 낮았다.

노무라 등 5개 기관의 전망이 들어맞는다면 한국 경제는 세계 금융위기 충격에 흔들린 2009년(0.7%) 이래 6년 만에 최저 성장을 하게 된다.

하반기 남은 기간에 수출 부진이 심해지고 중국 경기의 둔화 속도가 빨라지면 성장률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수 경기가 가라앉고 중국 경기가 더 나빠지면 2%대 초반까지 한국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다"며 "정부가 어떤 대책을 내놓느냐가 중요한데 (경기 하락 압력에 따른)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놔야 한다"고 설명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에 대한 전망도 우울하다.

최근 모건스탠리는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3.2%에서 2.2%로 1.0%포인트나 하향 조정했다.

LG경제연구원도 내년 한국 경제가 2%대에서 정체를 보일 것이라며 "올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충격으로 소비가 위축된데 따른 반등 효과가 내년에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경제 활력은 더 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수출·내수 동반 부진…걷히지 않는 대외 악재

한국 경제가 부진의 늪에 빠진 것은 수출과 내수의 동반 부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경제의 버팀목이던 수출이 올해 들어 꾸준히 감소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한국 수출은 8월에 14.7%(작년 동기 대비)나 줄면서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한 직후인 2009년 8월(-20.9%) 이후 6년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졌다.

올해 내내 엔화 약세로 시달린 한국 수출은 8월 들어 중국 위안화 약세의 공세까지 받아야 한다.

유가 급락도 한국의 주력 품목인 석유제품 수출액 감소에 한몫했다.

중국이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라는 점에서 중국 경제 부진이 한국 수출에도 악영향을 끼친 측면이 강하다.

모건스탠리는 "한국 수출의 성장 엔진이 꺼졌다"며 "구조적인 문제에 따른 수출 부진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기술 발전으로 한국 수출의 길이 더욱 막혔다는 상황에도 직면했다.

중국이 고급으로 여기던 한국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중국산 제품이 세계시장에서 한국 제품과 경쟁하게 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수출 부진에 이어 내수마저 살아나지 않고 있다.

저유가에 따른 가계의 구매력 향상을 기대했지만 2분기 '메르스'라는 복병을 만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수석연구위원은 "기업 수익성 악화로 임금 상승 압력이 높지 않고 그동안 빠르게 늘었던 고용이 계속 둔화하면서 가계소득 확대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소비의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내부의 상황이 녹록지 않은데 외부 악재도 걷힐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중국 경기의 불안감은 여전한데다 신흥국의 위기도 '만성질환'처럼 세계 경제를 괴롭히고 있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미국 기준금리가 이달 동결로 결정되면서 세계 경제의 위기감은 증폭됐다.

미국이 경제 회복에도 금리를 동결했다는 것은 그만큼 세계 경기를 나쁘게 봤다는 것으로 해석돼 시장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 저성장 고착화 우려, 잠재성장률 전망도 '우울'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나빠지면서 저성장 고착화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5년 후에는 2% 아래로 주저앉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LG경제연구원은 2020~2030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평균 1.7%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 집계치를 보면 2000년대 4.6%이었던 잠재성장률은 2010~2014년 3.6%로 낮아졌다. 2015~2019년 전망치는 2.5%로 더 떨어졌다.

잠재성장률이란 적정 인플레이션 아래에서 한 국가가 자본, 노동 등 가용 자원을 활용해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수준을 말하는 잠재 국내총생산(GDP)의 성장 속도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국가 경제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중장기 성장추세를 말하는데 사용된다.

이근태 연구위원은 "2017년부터 생산 가능 인구가 마이너스로 돌아서고서 둔화해 노동투입 여력이 빠르게 줄어들 것"이라며 노동이 잠재성장률을 낮추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머지않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의 GDP 잠재성장률이 1970년대 10.0%를 고점으로 하락해 2010~2014년 3.5%까지 떨어졌다고 추정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현재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대까지 내려갔고 시간이 갈수록 1%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자본, 노동, 기술이 잠재성장률에 중요한 요소인데 과거 고도성장을 하는데 도움을 준 자본은 한계에 이르렀고 기술은 큰 폭의 발전을 하기 어렵다"며 "결국 노동만 남는데 인구 감소 추세여서 잠재성장률 하락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020년 중반에 2%가 무너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의 둔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경제기관들의 전망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하락할 수도 있다.

이근태 연구원은 "중국 경제의 경착륙과 관련한 시장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여서 한국 잠재성장률에는 경착륙 시나리오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나빠진다면 잠재성장률은 더 떨어질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하락 추세의 잠재성장률을 높이려면 고용률을 높이고 투자 활성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 연구원은 "청년 고용을 높이고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이 중요하다"며 "세계 경제 흐름에 맞춰 서비스 산업을 확대해 내수를 활성화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도 "장기 성장력과 복원력 회복을 위해 신속한 구조전환이 있어야 한다"며 "유효수효 창출과 투자 확대, 수출 성장력을 높이기 위한 신시장 개척 등도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1: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208,000
    • -0.62%
    • 이더리움
    • 5,046,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594,500
    • -2.78%
    • 리플
    • 685
    • -1.3%
    • 솔라나
    • 208,100
    • +1.56%
    • 에이다
    • 582
    • -0.34%
    • 이오스
    • 904
    • -3.21%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150
    • -2.92%
    • 체인링크
    • 20,950
    • +0.38%
    • 샌드박스
    • 527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