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9월 19일 漁夫之利(어부지리) 둘이 싸우는 바람에 제 3자가 덕 본다

입력 2015-09-19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어부지리(漁夫之利)는 너무도 유명한 말이다. 이 말도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서 나왔다. 조(趙)가 연(燕)을 치려 할 때 마침 소진(蘇秦)의 아우 소대(蘇代)가 와 있었다. 형만은 못하지만 그도 유명한 세객(說客)이었다. 소대는 연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조 혜문왕(惠文王)을 찾아가 이렇게 말했다. “이번에 제가 여기에 오는 도중 역수(易水)를 건너게 됐습니다. 마침 민물조개가 강변에서 입을 벌리고 햇볕을 쪼이고 있는데 도요새가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 하자 조개는 깜짝 놀라 입을 오므렸습니다. 도요새는 주둥이를 물리고 말았습니다. 도요새는 오늘 내일 비만 오지 않으면 조개가 말라 죽을 거라고 생각했고, 조개는 오늘 내일 입만 벌리지 않으면 도요새가 죽을 거라고 생각해 서로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때 마침 이를 본 어부가 새와 조개를 다 잡아버렸습니다.”[今者臣来過易水 蚌方出曝 而鷸啄其肉 蚌合而莫過甘其喙 鹬曰 ‘今日不雨 明日不雨 即有死蚌’ 蚌亦谓鹬曰 ‘今日不出 明日不出 即有死鹬’ 兩者不肯相舍 渔者得而幷擒之] 이야기 전개가 견토구폐(犬兎俱斃)의 경우와 똑같다.

소대는 이어 이렇게 말했다. “지금 연나라를 치려 하시는데 두 나라가 오래 버티어 백성들이 지치게 되면 강한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을 저는 염려합니다. 왕께서는 깊이 헤아리십시오.”[今趙且伐燕 燕趙久相支 以弊大衆 臣恐强秦之爲渔父也 故愿王熟計之也] 혜문왕은 옳은 말이라며 공격계획을 취소했다.

이 글에 나오는 鷸은 도요새, 물총새를 뜻하는 글자다. 蚌은 말조개과의 민물조개라고 한다. 방합(蚌蛤)과 도요새가 싸우는 바람에 제 3자만 덕을 봤다는 방휼지쟁(蚌鷸之爭)이라는 말이 있다. 휼방지쟁이라고도 한다. 그런 형세를 방휼지세(蚌鷸之勢)라고 한다. 아주 좋지 않은 상황이다. 어부지리는 어옹지리(漁翁之利)라고 말하기도 한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53,000
    • +0.32%
    • 이더리움
    • 5,327,000
    • +0.7%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4
    • -0.28%
    • 솔라나
    • 232,000
    • -0.56%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36
    • +0.8%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0.99%
    • 체인링크
    • 25,850
    • -0.15%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