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9월 13일 聞可滅意(문가멸의) 한마디 말을 들어 마음을 편안하게

입력 2015-09-13 07: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법구경(法句經) 술천품(述千品)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슈라바스티에 머무를 때 장자(長者) 람달이 무차대회를 열고 바라문 5000명을 공양했다. 사위성(舍衛城) 또는 사위국(舍衛國)으로 알려진 곳이다. 그 장자는 5년간 엄청난 물품을 보시했다.

석가모니는 보시의 종류에 대해 1)보시는 많은데 그 복의 갚음이 적은 것 2)보시는 적은데 그 복의 갚음이 많은 것 3)보시도 많고 복의 갚음도 많은 것 4)보시도 적고 복의 갚음도 적은 것 네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했다. “비록 천 마디 글귀를 외우더라도 그 뜻이 바르지 않으면 단 한 마디 말을 들어 마음을 편안히 다스리는 것만 못하다.”[雖誦千言 句義不正 不如一要 聞可滅意] 뜻 없는 글을 읽지 말라는 것이다.

법구경 제 8장의 모든 시구는 백이나 천이라는 숫자로 시작돼 술천품, 즉 ‘천 가지의 장'이라고 불린다. 경전 편집 당시 천이나 백으로 시작되는 시구를 한데 묶었다. 그런 시구를 계속 읽어보자. 이번 것도 앞의 말과 비슷하다. “비록 천 마디 말을 외우더라도 뜻이 올바르지 않으면 무익하다. 단 한 마디의 뜻이라도 옳게 듣고 그대로 행해서 편안함을 얻는 것만 못하다.”[雖誦千章 不義何益 不如一義 聞行可度]

더 읽어보자. “무수히 많은 사람을 적으로 삼아 이기더라도 자기 자신을 이기는 것만 못하니 이것이 싸움 중의 최상이다.”[千千爲敵 一夫勝之 未若自勝 爲戰中上]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이 가장 강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런 말도 있다. “한 달에 천 번씩 하늘에 제사 드려 목숨이 다하도록 쉬지 않는다 해도 잠깐이나마 한마음으로 법을 생각하는 일에는 미칠 수 없다. 한 생각 사이에 복을 짓는 것이 제사로 몸을 다하는 것보다 낫다.”[月千反祠 終身不輟 不如復臾 一心念法 一念造福 勝彼終身]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03,000
    • +0.21%
    • 이더리움
    • 5,327,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33%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2,100
    • -0.64%
    • 에이다
    • 633
    • +0.96%
    • 이오스
    • 1,137
    • +0.18%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99%
    • 체인링크
    • 25,680
    • +0.2%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