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9월 10일 聽而不聞(청이불문) 들어도 들리지 않아서야

입력 2015-09-10 10: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정치를 하든 사업을 하든 사람들의 말을 두루 들어야 한다. 한쪽 말만 듣고 판단하고 결정하면 위험하다. 그런데 실제로는 의견을 두루 듣기가 쉽지 않다.

‘관자’ 군신(君臣)편 상에는 왕이 겸청(兼聽)을 하는 구체적 방법이 나온다. “아무리 명군이라 해도 백 보 밖에서는 들을 수 없고 담장 하나만 있어도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명군으로 부르는 것은 용신(用臣)을 잘해 신하가 모든 충성을 바치기 때문이다.”[雖有名君 百步之外 聽而不聞 閒之堵牆 窺而不見也 而名爲明君者 君善用其臣 臣善納其忠也]

내가 직접 듣지 못하더라도 세상의 정직한 의견을 왜곡하지 않고 그대로 알려주는 사람을 신하나 간부로 쓰라는 말이다. 그렇게 하면 “성신(誠信)으로 성신을 잇고 선량으로 선량을 전하는 까닭에 천하가 잘 다스려진다.”[臣以繼信 善以傳善 是以四海之內 可得而治] 그렇게 하려면 신하의 장·단점을 두루 꿰고 그 한계 또한 알아야 한다. 그래야 적재를 적소에 앉힐 수 있다.

이 글에 나오는 청이불문(聽而不聞)은 들으려 해도 듣지 못한다는 말이지만 ‘대학’ 장구 전 7장에서는 들어도 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였다.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이를 일러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此謂修身在正其心]

이 문장의 앞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소위 몸을 닦는 것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는 것은 마음에 노여워하는 바가 있으면 바르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바르지 못하며,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바르지 못하고, 근심하는 바가 있으면 바르게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所謂修身 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서울서만 36건 접수…강원·경북·충북서도 식별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42,000
    • +0.26%
    • 이더리움
    • 5,327,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1.01%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2,500
    • -0.3%
    • 에이다
    • 632
    • +0.8%
    • 이오스
    • 1,139
    • +0.71%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1.51%
    • 체인링크
    • 25,710
    • -0.31%
    • 샌드박스
    • 625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