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다음카카오 "인위적인 뉴스 편집 없다"

입력 2015-09-09 18: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누리당인 여당을 중심으로 포털의 좌변향 지적에 대해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인위적인 뉴스 편집은 없다"며 반박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9일 최고위원 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 80%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젊은층의 포털 의존도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다음 같은 일부 포털이 뉴스 구성에 있어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기존 언론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포털의 왜곡과 편향을 비롯해 선정성과 개인 사생활 침해가 한계를 넘었다"며 "기사 단순 전달자 수준이 아닌 가치 판단이 든 편향성 관련 문제를 엄중히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최형우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팀은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의 의뢰로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 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내고 네이버와 다음 모두 청와대와 여당에 대해 긍정적 표현보다 부정적 표현을 사용한 뉴스를 더 많이 노출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반박했다.

네이버뉴스의 편집에 대한 자문과 검증 활동을 하는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원회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회의를 갖고 "해당 보고서가 객관적·과학적 방법에 의해 작성됐는지 현재로서는 확인이 어렵다"며 보고서의 신뢰성 문제를 제기했다.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는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의 제목을 네이버가 자체로 편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네이버 뉴스편집 이력은 1분 단위로 공개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기관에서 포털 뉴스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객관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는 "네이버뉴스 편집에 대한 보다 높은 수준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 산하에 '실시간 편집 모니터링단'을 두는 방안을 다음 회의 때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음카카오 역시 뉴스 편집과 관련한 입장을 바로 냈다.

다음카카오는 "지난 6월 이용자가 좋아하는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시스템이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해 다양한 맞춤형 콘텐츠들을 자동 추천하는 루빅스(RUBICS)를 도입해 뉴스 서비스에 우선 적용했다"며 인위적인 뉴스 편집 의혹을 일축했다.

다음카카오는 "루빅스의 경우 이용자의 관심사를 지속적으로 학습해 가장 최적화된 콘텐츠를 보여주게 된다"며 "기존에는 PC와 모바일에서 다음 뉴스 접속 시 모두에게 동일한 기사로 구성된 첫 화면이 보여졌다면, 루빅스 알고리즘 적용 이후에는 이용자 반응에 따라 관심사별로 각기 다른 기사가 노출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다음카카오는 "뉴스 제목을 임의로 수정하지 않는다"며 "제목 변경은 언론사 고유 권한으로, 포털이 제목을 변경할 땐 레이아웃에 맞춰 글자수 축약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레이아웃에 맞춰 글자수 축약)이럴 경우에도 제목 및 기사가 본래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조정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92,000
    • +0.19%
    • 이더리움
    • 5,328,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33%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2,000
    • -0.73%
    • 에이다
    • 633
    • +0.96%
    • 이오스
    • 1,137
    • +0.26%
    • 트론
    • 157
    • +1.29%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99%
    • 체인링크
    • 25,680
    • +0.08%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