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감]유의동 의원 "3년간 해외서 담합 국내기업, 과징금만 1조.

입력 2015-09-09 08:13 수정 2015-09-09 11: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2년 이후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에서 담합으로 적발되어 부과 받은 과징금이 1조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나 국제카르텔 제재 강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새누리당, 경기 평택을)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이후 해외에서 담합으로 적발돼 과징금을 부과 받은 기업은 총 8개이며, 이들 기업이 EU, 캐나다, 뉴질랜드, 중국, 브라질 5개 국가에서 부과 받은 과징금은 1조 375억원에 달했다.

총 11회의 적발 중 LG전자, 삼성전자, 대한항공이 각각 두 번씩 제재를 받았는데, LG전자의 경우, EU(6,975억)와 브라질(65억)에서 CRT 담합을 이유로 총 7,040억을 부과 받으며. 가장 많은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는 오명을 남겼다.

올해에도 브라질에서 두 건의 담합이 적발돼 제재를 받았다. LG전자는 CRT 판매가격을 담합했다는 이유로 65억을. 삼성전자는 D램 판매가격을 담합했다는 이유로 7억원의 과징금을 물었다.

주목할 점은 영국과 미국, EU 외에 중국이나 브라질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유의동 의원은 “해외에서 담합으로 적발되는 경우, 기업이나 대한민국이 입는 이미지 타격과 매출감소 등이 국제카르텔로 얻을 수 있는 부당이익보다 보다 클 것”이라며, ”국제카르텔에 대한 조사공조가 갈수록 공고해지는 추세임을 감안해 우리 기업들도 외국의 카르텔 제재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경각심을 가져야 하며, 공정위는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국내외 경쟁법 위반에 대한 예방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카르텔 예방활동을 확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1: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43,000
    • -2.33%
    • 이더리움
    • 5,050,000
    • -2.66%
    • 비트코인 캐시
    • 636,500
    • -4.21%
    • 리플
    • 682
    • -2.85%
    • 솔라나
    • 218,700
    • -3.44%
    • 에이다
    • 606
    • -2.88%
    • 이오스
    • 964
    • -3.6%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200
    • -7.13%
    • 체인링크
    • 21,750
    • -4.35%
    • 샌드박스
    • 566
    • -4.39%
* 24시간 변동률 기준